Installation view of Sang Nam Lee’s 'Forme d'esprit' at Perrotin Seoul. Photo: CJY Studio.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2024 年 1 月 25 日 - 2024 年 3 月 16 日
+ 加入日程
SEOUL

10 Dosan-daero 45-gil, Gangnam-gu

Perrotin Seoul is pleased to present Forme d’esprit, a solo exhibition by Sang Nam Lee, an artist who has been working in New York since 1981. Showcasing 13 works that span the artist’s career from the 1990s to 2023, the exhibition will explore Lee’s unique geometric and abstract language accumulated over four decades of artistic oeuvre.



페로탕 서울은 2024년 첫 전시로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 이상남의 개인전 《Forme d’esprit (마음의 형태)》을 개최한다. 1990 년대부터 2023년까지, 이상남의 회화 세계를 아우르는 작품 13점을 한자리에서 소개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40년의 예술 커리어 속에서 축적된 작가만의 독창적인 기하학적 추상 언어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It was amidst a veritable flood of different concepts, artists, and art institutions that Sang Nam Lee began to explore the bounds of his own artistic language all through the 1980s and into the mid-1990s. From the vantage point of Lee’s return to Korea, beginning with his exhibition in Korea in 1997, this early New York period marked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formation of his work.



이상남은 다양한 개념과 미술가, 미술 기관 등이 범람하는 뉴욕의 미술계에서 1980년대와 1990년대 중반까지 자신의 미술 언어의 방식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상남이 귀국 작가로서 1997년 국내 전시를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초기 뉴욕시기는 그의 작업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The form of Lee’s images from these early New York years will strike those acculturated to the reproducibility of painting as foreign, a set of alien signs. They appear simultaneously as image, and shape, and form, and sign. Each is composed of geometric elements — point, line, and plane — but they are also enigmatic forms, difficult to pin down: a riddle.



그가 뉴욕 초기에 그렸던 이미지의 형태는 회화의 재현성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낯설고 이질적인 기호를 각인시킨다. 이는 이미지이자 형상이며, 형태이자 기호로 보인다. 점, 선, 면의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정확한 형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수수께끼 같은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Formally, Sang Nam Lee's work belongs to geometric abstraction, but these works also contain collisions and ruptures in meaning that arise from a constant denial of any fixed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and content of the image/sign. From time to time, these cracks can generate a kind of tension and wit. Then, we come to understand that Lee’s paintings do not reproduce distinct forms.


이상남의 작품은 형식적으로 보면 기하학적 추상 작업이지만, 그의 작업에서는 이미지의 형태도 내용도 서로 고정된 관계를 끊임없이 부정하면서 생기는 의미의 균열과 파열이 생겨난다. 이 균열은 때로는 긴장과 위트를 유발하는데, 그의 그림이 뚜렷한 형태들을 재현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stallation view of Sang Nam Lee’s 'Forme d'esprit' at Perrotin Seoul. Photo: CJY Studio.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In the earlier works, everything was done by hand — from creating the shape of a prototype to transferring it into the realm of the plane; gradually, however, he began utilizing computers for prototyping, which could then be subjected to a kind of “algorithmic” process to extract more images. The production method, which the artist describes as one of “marquetry” (or inlay), is the result of many distinct processes that include the application of acrylic paint as a base, then a layer of lacquer to that base, followed by sanding and coloring. To Lee, erasing any traces of his actual handiwork is a part of the "labor required to create an artificial, smooth substance."



초기에는 모든 것을 손에 기대어 프로토타입의 형태를 만들고 이를 평면 안으로 옮겨왔지만, 점차 컴퓨터를 이용해 프로토타입을 만듦으로써 더 많은 이미지를 추출하는 일종의 ‘알고리즘’ 과정을 거친다. 작가가 상감세공의 과정으로 설명하는 제작 방식은 바탕에 아크릴 물감을 칠하고 옻을 입히고 또 사포로 문지르고 색을 입히는 등 여러 과정을 거쳐서 탄생한 결과물이다. 작가가 손작업의 흔적을 지우는 것은 “인공적인 매끈한 물질을 만들기 위한 노동”에 속한다.

Sang Nam Lee’s work was able to break away from the modernist approach of separating the world of painting from the world beyond the frame. For Lee, painting constructs an intertwined worldview in which our living spaces, architectural spaces, and social issues intersect and maintain close relations with one another. And this, in turn, leads to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the different ways we live our lives, our various entanglements, and, indeed, our very existence.



이상남의 작품은 회화의 세계와 프레임 밖의 세계를 분리했던 모더니즘 시각에서 탈피했다. 그에게 회화는 우리의 삶의 공간과 건축 공간, 사회적 이슈가 서로 교차하고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얽힌 세계관을 구축한다. 이는 우리가 일상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방식과 얽힘, 존재 자체에 대한 철학적 사유로도 이어진다.


"I touch the line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rationality and irrationality, analog and digital, painting and architecture, art and design. I live in between. Painting makes everything possible. It can hold everything."



나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합리와 비합리, 아날로그와 디지털, 회화와 건축, 미술과 디자인 사이의 샛길을 건든다. 그 사이에서 산다. 회화는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든 것을 포용할 수 있다.



— Sang Nam Lee
Installation view of Sang Nam Lee’s 'Forme d'esprit' at Perrotin Seoul. Photo: CJY Studio.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The forms chosen by Sang Nam Lee, turned into signs, are “nomadic beings” that float constantly between here and there, refusing to settle down. When we understand the images in Lee’s work to be signs, they do not then settle down in one place; rather, they roam, nomads unable to root in place, continually connecting and entangling the here with the there.



이상남이 선택한 형태들은 기호가 되어 여기와 저기를 끊임없이 부유하며 자리 잡기를 거부하는 '유목민적 존재들'이다. 그의 작품 속 이미지들을 기호라고 여긴다면, 그 기호들은 정착하지 못하는 존재로서 여기와 저기를 연결하고 얽히게 만들어 나간다.

The resulting signs are the images he has accumulated over more than four decades. They are more than just shapes; they are compressed landscapes of the artist's mind, revealing the vistas of the cities and sites he has painted, the trajectories and journeys that make up his life.



이러한 기호는 그가 40년 이상 축적한 이미지이다. 그것은 단순한 형태에 그치지 않고 작가가 그린 도시와 장소의 풍경, 살아온 삶의 궤적과 여정을 여실히 보여주는 압축된 마음의 풍경화이다.

Much as the distance between foreground and background is compressed and vanished in Lee's works, the horizontal temporality of its space serves a key function; meaning that “here” and “there” can easily be transposed to “there” and “here,” refusing to exist in the dynamic of power that is the relation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Sang Nam Lee's paintings, which exist somewhere between analog and digital, modernism and postmodernism, create landscapes of entanglement itself — the kind of entanglement that mediates space, place, and temporality alike.



이상남의 작품에서 전경과 후경의 거리감이 압축되어 사라지듯이 그 공간에는 수평적인 시간성이 중요하게 자리 잡기 때문에 여기와 저기는 쉽게 저기와 여기로 전치될 수 있으며, 중심과 주변부라는 힘의 역학으로 존재하는 것을 거부한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샛길,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샛길에 존재하는 이상남의 회화는 다양한 공간과 장소, 시간성을 매개하는 얽힘 그 자체의 풍경화를 만든다.


The above texts are extracts of an essay authored by Yeon Shim Chung (Professor, Hongik University) for Forme d'esprit.


위 글은 본 전시에 대한 정연심 교수(홍익대학교 예술학과)의 서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Sang Nam LEE

Born in 1953 in Seoul, South Korea
Lives and works between New York, USA and Seoul, South Korea


Sang Nam Lee is known for his geometric abstract paintings with symbols and signs. Throughout the 1970s, he actively participated in major exhibitions, including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in Daegu, Central Museum of Art in Tokyo, and São Paulo Biennale. Continuing to experiment with and pose theoretical questions about painting, in 1981, Lee departed to New York, where he explores his own artistic language.


Lee’s works, as 'geometric abstraction', prominently feature images, particularly symbols and signs. The artist deliberately rejects the legibility and ideographic representation of images, avoids reproducing specific objects, and adopts a way of thinking that negates our existing perceptions, stereotypes, and traditions. Thus, his works can be described as ‘landscape paintings of minds,’ depicting the landscapes of the cities and places where he has lived, as well as the trajectory and journey of his life.


Sang Nam Lee’s large-scale wall paintings are permanently installed at public institutions such as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2010) and Poznan airport in Poland (2012), and Embassy of Republic of Korea in Japan (2013). He has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Seoul; Smithsonian Museum in Washington, D.C.



1953년 서울 출생

뉴욕과 서울에서 거주 및 작업


이상남은 기호와 도상을 이용한 기하학적 추상 회화로 잘 알려져 있다. 1970년대 대구현대미술제, 도쿄 센트럴미술관, 상파울루 비엔날레 등 국내외 주요 전시에 활발히 참여하며 회화에 대한 이론적 질문과 실험을 계속하던 그는 1981년 뉴욕으로 떠나 자신만의 예술적 언어를 모색하였다.


'기하학적 추상화'라 말할 수 있는 이상남의 작품에는 다양한 도상의 이미지와 기호가 등장한다. 작가는 이러한 이미지의 가독성과 표의성을 의도적으로 거부하고, 특정 대상에 대한 재현을 지양하며, 기존의 인식과 고정관념, 전통을 부정하는 사고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그의 작품은 자신이 살아온 도시와 장소의 풍경, 그리고 자기 삶 속 여정과 궤적을 담은 ‘마음의 풍경화’이다.


이상남 작가는 경기도미술관(2010), 폴란드 포즈난 공항(2012),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2013) 등 공공기관에 대형 벽화 작품을 영구 설치한 바 있다. 또한 그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대학교 미술관, 미국 워싱턴 D.C.의 스미스소니언 미술관 등 유수한 기관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했다.



More about the artist
MORE ON SOCIAL MEDIA👀
List of artworks
1st Floor
2nd Fl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