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août - 25 octobre 2025
+ ajouter à mon calendrier
SEOUL

10 Dosan-daero 45-gil, Gangnam-gu

Seoul, South Korea

Perrotin Seoul presents a solo exhibition by Japanese contemporary artist Izumi Kato. This marks his second solo show at the gallery, following his first in 2018. Born in 1969 in Shimane, Japan, Kato graduated from Musashino Art University in 1992 and has since been based in Hong Kong and Tokyo. Beginning his career in painting, he has expanded his practice to include works made with natural materials such as wood and stone, creating primitive and totemic forms. Kato’s work challenges conventional notions of painting and sculpture, offering a fresh perspective that invites contemplation on the essential and conscious dimensions of art. Centered on the artist’s new works, this exhibition offers a visual exploration of the nature of human existence and a sense of universal human sensitivity.



페로탕 서울은 일본 현대미술 작가 이즈미 카토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18년 페로탕 서울에서 열린 첫 개인전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개인전이다. 1969년 일본 시마네현에서 태어난 이즈미 카토는 1992년 무사시노 미술대학을 졸업한 후, 홍콩과 도쿄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회화에서 출발한 그는 목재, 돌 등 자연적 재료를 활용해 원시적이면서도 토템적인 형상의 작품을 선보여 왔다. 그의 작업은 회화와 조각에 대한 고정관념을 넘어서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예술의 본질적이고 의식적인 측면에 대한 사유를 유도한다. 작가의 신작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인간 존재의 본질과 인류애적 감수성을 시각적으로 탐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Hailing from Japan’s Shimane Prefecture, artist Izumi Kato regularly depicts peculiar creatures that resemble humans. These lifeforms are characterized by heads that seem large in proportion to their bodies and eyes drawn with particular emphasis, as well as arms and legs that tend to taper off, ambiguous; our imagination, here, turns toward extraterrestrial beings, or perhaps spirits belonging to the natural world. Having studied oil painting at Musashino Art University, Kato initially expressed these forms as two-dimensional paintings, gradually expanding his practice into three dimensions over time by incorporating various materials like wood, stone, cloth, soft vinyl, and plastic models, as well as exploring different modes of expression like painting directly onto kimonos.



일본 시마네현 출신의 이즈미 카토는 인간과 흡사하게 생긴 독특한 생명체를 즐겨 표현하는 작가다. 이 생명체들은 몸통에 비해 머리가 크고 눈이 유난히 강조되어 있으며 팔과 다리 끝이 모호하게 표현되어 외계 생명체나 자연에 깃든 정령을 상상하게 한다. 무사시노 미술대학 유화과를 졸업한 그는 초기에는 이러한 형상을 평면 회화로 표현하다가, 점차 나무, 돌, 천, 소프트 비닐, 프라모델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구현하고, 기모노 위에 직접 형상을 그려 넣는 등 표현 방식을 확장해왔다.

1. The Artistic World of Izumi Kato


The distinctive lifeforms of Izumi Kato were not arrived at in one fell swoop; rather, they speak to a process of change that involved multiple stages. Just as an insect reaches its final form through a given process of metamorphosis, Kato’s forms evolve both consistently and sequentially, as if following a predetermined course—ultimately establishing, as a result, a singular formative language entirely his own.



1. 이즈미 카토의 작품 세계


이즈미 카토의 독특한 생명체 형상은 단번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단계적인 변화를 거쳐왔다. 곤충이 일정한 변태(metamorphosis) 과정을 거쳐 완전한 형태를 갖추듯이, 마치 작품이 진화해 나갈 방향을 미리 정해놓은 것처럼 순차적이고 일관성 있게 형상을 발전시킨 결과 마침내 그만의 독자적인 조형 언어를 성취했다. 이러한 창작의 여정과 이즈미 카토의 예술관을 회화와 조각으로 나눠서 살펴보자.

Izumi Kato, Laborer Song 3, 1994, Acrylic on panel, 162 x 130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1) Kato’s Painting: Indigenous Faith and its Dreamlike Forms


While Kato works not just in painting, sculpture, and installation but crosses freely into and out of disparate fields like fashion and handicraft, painting does remain at the heart of his art—perhaps because he majored in it as an undergraduate. In other words, the artist’s approach begins by first realizing an idea or concept through painting, and then gradually expanding the result into the realm of sculpture or installation involving an array of different materials.


Izumi Kato’s painting practice can be traced back to Laborer Song, produced in 1994. In this early work, simple pupa-shaped forms are horizontally juxtaposed against one another within a monochromatic picture plane, a viscous substance flowing, stretchy and long, from the body of each figure. Though arms and legs are expressed, protruding from these torsos, hands and feet are omitted, while in the face, eyes and nose are emphasized while ears are missing entirely; all of this, in turn, moves us one step closer to Kato’s distinctive character. In 1999, we see the appearance of beings that are markedly closer to human than before, including gender expressed through genitalia and titles such as Pose, Side, Male, and Side, Female, underscoring the suggestion that these figures are meant to be living beings.



1) 카토의 회화 : 토착신앙의 몽환적 형상들


카토는 회화, 조각, 설치 작품뿐 아니라 패션, 공예 등의 영역을 넘나드는 작업을 하고 있지만, 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했기 때문인지 그의 예술의 중심에는 회화가 있다. 말하자면, 아이디어나 개념을 먼저 회화로 구현한 후 점차 다양한 재료의 조각이나 설치 작품으로 확장해 나가는 방식이다.


이즈미 카토의 회화 작업은 1994년 작품 <Laborer Song>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초기 작품에는 단색조의 화면 속에 번데기 형태의 단순한 형상들이 수평적으로 병치되어 있고, 각 형상의 몸통에서는 점액질이 길게 흘러내리고 있다. 점차 몸통에서 팔과 다리가 표현되었으나 손과 발이 생략된 채이며, 얼굴 부분에서 눈과 코가 강조되었으나 귀는 표현되지 않은 모습으로 발전하면서 카토의 독특한 캐릭터에 한발 다가간다. 1999년에는 보다 인간에 가까운 존재들이 출현하는데, 성기로 성별을 표현하고 <Pose>, <Side, Male>, <Side, Female> 등의 제목을 붙여 이들이 생명체임을 암시하였다.

Izumi Kato, Untitled, 2004, Oil on canvas, Each: 91 x 72.7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Entering the 2000s, a unique figurative form distinctive to Izumi Kato becomes set: a large head with emphasized eyes accompanies an organic yet flat body with largely undifferentiated hands and feet, posed standing, seated, or—from time to time—prone, on its side. The face is expressionless, gazing straight ahead, and though the eyes are so markedly oversized that they can appear to be gazing straight at the viewer, more often than not the pupils are actually absent, and so no real psychological connection actually takes place. At times, these characters exist in isolation, but they are also presented together in combination with nameless plants, like different trees and flowers, or even with other peculiar lifeforms, inciting a kind of formal interest along with introducing an element of tension. Moreover, by uniformly titling his works Untitled and thereby further minimizing any hints to interpret, the work of meaning making is left entirely to the viewer’s imagination.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카토 특유의 형상들이 정립된다. 머리가 크고 눈이 강조되어 있으나 몸체는 유기적이면서 납작하고 손발은 미분화된 채로 서 있거나, 앉아 있거나, 때로는 엎드린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 얼굴은 무표정하게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유독 눈이 커서 관람자를 바라보고 있는 듯하지만 대부분 눈동자가 표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관람자와의 심리적 교감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홀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나무나 꽃 같은 이름 모를 식물이나 독특한 생명체들과 결합되어 있어 조형적으로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긴장감을 준다. 게다가 작품 제목을 <Untitled>로 통일하여 작품에 대한 해석의 단서를 최소화함으로써 모든 의미 부여를 관람자의 상상에 맡긴다.

When painting on canvas, Kato eschews use of the brush in favor of applying paint to his fingers and rubbing the pigment into the surface. A technique that predates civilization, this method of using one’s actual body in place of any tools is as primitive and fundamental as the outer appearance of a given lifeform. By rubbing the paint onto the canvas with his fingers, the artist is able to physically feel the process of the paint seeping into the canvas; moreover, even as this paint adheres more delicately to the canvas,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colors become blurred. As a result, Kato’s forms take on a more fluid and dreamlike atmosphere.


Kato’s paintings are sometimes split across two or three canvases, or consist of works painted on different fabrics that are then stitched together. At times, he depicts a full figure on a single canvas, or renders only the face or upper body of a creature independently, as if painting a bust or portrait. More often, however, the full figure is split across two or more canvases of varying sizes. By dividing the composition into upper and lower body, or segmenting it at the head, waist, and legs, he creates the impression of a single living being existing across different dimensions. On occasion, he also interlocks canvases depicting entirely different beings, expressing a seeming simultaneity of separate worlds.



카토는 캔버스에 그림을 그릴 때 붓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에 물감을 묻혀 문질러 그리는 방식을 택한다.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신체를 직접 사용하는 방식은 문명 이전 시대의 방법으로, 생명체의 생김새만큼이나 기법적으로도 원초적이다. 손가락으로 물감을 문질러 그림으로써 작가는 캔버스에 물감이 스며드는 과정을 신체적으로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물감이 캔버스에 더욱 예민하게 밀착되면서도 색의 경계가 흐려지게 된다. 그 결과 그가 표현한 형상들은 더욱 유동적이고 몽환적 분위기를 띤다.

카토의 회화 작품은 두세 개의 캔버스로 나뉘거나 다른 천에 그려진 그림들이 스티치로 결합된 경우도 있다. 전신을 하나의 캔버스에 그리거나 생명체의 얼굴이나 상반신만을 독립적으로 표현하여 마치 두상이나 흉상의 초상화처럼 표현하기도 하지만, 전신을 두 개 이상의 크고 작은 캔버스에 나누어 그리는 경우가 많다.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기도 하고 머리 부분과 허리, 다리 부분에서 분절하여 표현하기도 하는데, 마치 하나의 생명체가 서로 다른 차원에 걸쳐서 존재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때로는 서로 다른 존재를 그린 캔버스를 맞물리게 연결하여, 서로 다른 세계가 공존하는 것처럼 표현하기도 한다.

Kato’s distinctive mode of expression is regularly interpreted as being in connection with a kind of totemism or animism rooted in traditional Japanese folk beliefs—a reading that is, in turn, closely linked to Kato’s own personal background. Shimane Prefecture, a region ringed by mountains and the sea, is both the artist’s birthplace and home to Izumo Taisha (出雲大社), one of the most important Shinto shrines in all Japan. According to one interview with the artist himself, Shinto and animistic worldviews writ large have long been key influences for Kato; indeed, his hometown, Yasugi, is known for the strength of its animistic legacy. Constantly regaled with tales of ghosts and spirits as he grew up there, he has always lived with a combination of awareness and vigilance toward such presences—a lifelong sensitivity and philosophy that permeates his art. In essence, the animistic beliefs, myths, and spirit lore that were part and parcel of his hometown day-to-day now form the very foundation of his work.



카토의 이런 독특한 표현은 일본의 전통적인 민간신앙에 뿌리박고 있는 토템이나 애니미즘에서 비롯한 정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특히 카토의 개인적인 경험과 연결된다. 그가 태어난 시마네현은 산과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일본에서도 신토(神道)의 대표적 성소로 여겨지는 이즈모 타이샤(出雲大社)가 있는 곳이다. 작가의 한 인터뷰에 따르면, 신토와 애니미즘적 종교관이 작업에 영향을 주었고 특히 작가의 고향 야스기시는 유난히 애니미즘이 강한 지역으로 어려서부터 귀신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자랐기 때문에 이런 존재들을 늘 인식하면서 경계해온 삶과 철학이 카토의 예술에 스며들게 되었다. 고향에서 익숙하게 들어온 애니미즘 신앙, 신화, 정령에 관한 이야기들이 작품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2) Kato’s Sculpture: The Primitive Spirit Made Manifest


In Pose, a piece from 1999, the lifeform leaves the bounds of the painting itself. Cutting just the body portion from the canvas, the artist paints both its front and back, roughly carving the figure’s head from wood to express its eyes and nose before installing the resulting lifeform in a corner of the exhibition space. Then, starting around 2003, he began to carve the entire lifeform out of wood, expressing the figure in three dimensions. Resembling primitive wooden dolls, Kato’s wooden works also recall Korea’s kokdu(funerary figurines); yet the primal atmosphere that imbues his paintings is consistently preserved in these sculptures as well. Here, the humanoid lifeform is expressed either alone or sometimes combined with animals or plants, and on the roughly carved wooden surface, the delicate addition of color with acrylic pigment creates a sense of mystery. Exhibited alongside Kato’s paintings or installed in special spaces such as shrines or traditional houses, these three-dimensional works effectively stimulate the imagination of the viewer in new ways.



2)카토의 조각: 원시적 정령의 현현


1999년 작품 <Pose>에서는 생명체가 그림 밖으로 나왔다. 작가는 몸 부분만을 캔버스에서 오려내어 앞뒷면에 채색하고, 머리 부분은 나무로 대략 깎아서 눈과 코를 표현한 독특한 생명체를 전시장 한 귀퉁이에 설치했다. 그러다가 2003년경부터는 생명체 전체를 나무로 깎아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했다. 카토의 목조 작품들은 원시적인 목각인형 같기도 하고 한국의 꼭두를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회화 작품에서 느껴지는 원초적 분위기는 조각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인간과 유사하게 생긴 생명체가 단독으로 표현되거나 때로는 동물이나 식물들과 결합되는데, 투박하게 깎은 나무 표면에 아크릴 물감 등으로 섬세하게 채색되어 신비감을 자아낸다. 이러한 입체 작품들은 회화 작품과 함께 전시되거나 신사나 전통 가옥 같은 특별한 공간에 설치되어 관람자의 상상을 더욱 자극한다.

The materials Kato uses extend beyond wood to include stone. Unlike his wooden works, his stone pieces remain in the exact form in which they were found in nature. While he sometimes works with wood or stone alone, he also combines natural materials—such as wood, stone, and leather—with industrial ones, including soft vinyl. Since 2020, he has revived his childhood passion for assembling plastic model toys and creating figures inspired by living organisms in nature, incorporating these into his sculptural practice. This interest in model-making has led to an in-depth exploration of casting and molding techniques, ultimately culminating in the production of alumi- num sculptures. Kato casts stones found in his surroundings in their unaltered stat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s rawness and industrial technology, as well as between mass production and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works. Like his stone sculptures, each aluminum cast is hand-painted by the artist, placing them in close dialogue with his painting practice.



카토가 사용하는 재료는 나무 뿐 아니라 돌로도 확장된다. 목조 작품과 달리, 석조 작품들은 자연에서 발견한 돌 그대로이다. 그는 나무나 돌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나무, 돌, 가죽, 연질 비닐 등 자연 재료와 산업 재료를 혼합하기도 한다. 2020년부터는 어린 시절 즐기던 플라스틱 장난감 모델 제작과 자연계 생물에서 영감을 받은 피규어 만들기에 대한 열정을 되살리며, 이를 조각 작업에 통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모형 제작에 대한 관심은 주조와 몰딩 기법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로 이어졌고, 결국 알루미늄 조각 제작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카토는 주변에서 발견한 돌을 가공하지 않은 그대로 주조하여, 자연의 원초성과 산업 기술, 대량 생산과 개별 작품의 고유성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다. 알루미늄 주조 작품은 돌 조각과 마찬가지로 작가가 직접 하나하나 채색하기 때문에, 그의 회화 작업과 긴밀한 연관 속에 놓여 있다.

2. Beyond Dichotomy, Into the Depths of Being


The paintings included in the show depict motifs related to marine life. Sea creatures like fish and conch shells appear in conjunction with the lifeforms that have effectively become Izumi Kato’s trademark. Interestingly, however, these sea creatures are expressed with a concrete specificity and delicacy that contrasts with the rather ambiguous and dreamlike nature of the humanoid forms.



2. 이분법을 벗어나 존재의 심연으로


이번 전시에 출품되는 회화 작품에는 해양 생물과 관련된 소재들이 표현되어 있다. 물고기, 소라 같은 바다 생물들이 이즈미 카토의 트레이드 마크와도 같은 생명체와 결합되어 있는데, 다소 모호하고 몽환적 분위기를 자아내는 인간 형상의 생명체와는 달리, 이 바다 생물들은 매우 구체적이고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어 흥미롭다.

When we consider that Kato grew up by the sea and claims fishing as his hobby, it is, perhaps, only natural for him to depict marine life. The sea creatures in these paintings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and regularly include species of fish the artist has personally caught while out fishing. Kato’s deep interest in marine life is distilled in the lithograph collection From the Sea, published in 2023. This print collection contains scenes in which sea creatures (fish, seaweed, sea urchins, turtles, octopuses, filefish, whales, etc.) conjoin with the humanoid lifeforms he so often works with to form one body, joyfully mingling under the sea. Unlike these earlier lithograph works, however, the pieces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do not depict marine life as something attached to the humanoid lifeforms; rather, they are painted separately on two or three individual canvases and placed side by side.



카토가 바다 가까이에서 자랐고 낚시가 취미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바다 생물을 표현하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르겠다. 그의 그림 속에는 바다 생물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는데, 자신이 직접 낚시로 잡아 올린 물고기의 형상도 종종 등장한다. 바다 생물에 대한 관심은 2023 년에 출판한 『From the Sea』라는 석판화집에 집약되어 있다. 이 판화집에는 바다 생물들(물고기, 미역, 성게, 거북이, 문어, 쥐치, 고래 등)이 그가 즐겨 다루는 인체 형상의 생명체와 한 몸을 이뤄 바다 속에서 즐겁게 어울리는 장면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번 전시 출품작들은 이전 석판화 작품들과 달리, 바다 생물체들이 인체 형상의 생명체와 붙어 있지 않고 두세 개의 캔버스에 각각 그려져 병치되어 있다.

As we have covered thus far, Izumi Kato’s work as a whole condenses animistic imagination and post-anthropocentric thinking. Animism, as a topic that is regularly explored in the world of contemporary art, tends to appear in works that seek to capture the vitality of the natural world, the fusion of humans and nature, and communion with supernatural beings; by the same token, animism is also interpreted as a critical alternative to modern humanism and a more materialistic worldview. As such, Kato’s devotion to an animistic world can be interpreted as a new philosophical and aesthetic approach that opposes an ostensibly rational worldview centered on the West.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이즈미 카토의 작품은 전체적으로 애니미즘적 상상력과 탈인간중심적인 사고를 응축하고 있다. 애니미즘은 현대미술에서도 자주 활용되는 주제로서, 자연의 생명력, 인간과 자연의 융합, 초자연적 존재와의 교감을 표현하는 작품에서 주로 나타나며, 현대의 인간주의와 물질주의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따라서 카토의 애니미즘적 세계의 추구는 서구 중심의 합리적 세계관에 대항하는 새로운 철학적·미학적 접근으로 해석할 수 있다.

We must note, however, that the artist himself has not chosen this topic with the intention of conveying a specific message to the audience. What matters here is what emotions are evoked in the viewer when looking at the work, with the hope that each individual will freely exercise their imagination to appreciate, think, and feel. This is also the precise reason why, despite giving concrete titles to his earlier works, Kato has consistently defaulted to Untitled since around the year 2000. In choosing silence over any direct statement or message about any given piece, Kato invites the viewer to discard their own preconceptions and surrender to the mystery of the work before them.



그러나 작가는 관객에게 어떤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로 주제를 한정하지 않는다. 관람자가 작품을 보고 어떤 감정을 갖는지가 중요하고, 저마다 자유롭게 상상력을 발휘해서 감상하고 생각하고 느끼기를 바란다. 그가 초기에는 구체적인 제목을 붙이다가 2000 년경부터 <Untitled>라는 제목을 사용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작품에 대해 직접 메시지를 말하는 대신 침묵함으로써 관람자로 하여금 선입견을 버린 채 작품의 신비를 느끼기를 바라는 것이다.

The above texts are extracts of an essay authored by Kim Yisoon (Former Professor of Art History, Hongik University) for this exhibition.



위 글은 본 전시에 대한 김이순 (전 홍익대학교 교수/미술사)의 서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Izumi KATO

Né en 1969 à Shimane, Japon
Habite et travaille entre Tokyo, Japon et Hong Kong, Chine


Children with disturbing faces, embryos with fully developed limbs, ancestor spirits locked up in bodies with imprecise forms—the creatures summoned by Kato are as fascinating as they are enigmatic. Their anonymous silhouettes and strange faces, largely absent of features, emphasize simple forms and strong colors; their elementary representation, an oval head with two big, fathomless eyes, depicts no more than a crudely figured nose and mouth. Bringing to mind primitive arts, their expressions evoke totems and the animist belief that a spiritual force runs through living and mineral worlds alike. Embodying a primal, universal form of humanity founded less on reason than on intuition, these magical beings invite viewers to recognize themselves.


Since the 2000s, he has garnered attention as an innovative artist through exhibitions held in Japan and across the world. In 2007, he was invited to take part in the 52nd Venice Biennale International Exhibition, curated by Robert Storr.



불안한 얼굴을 한 아이들, 완전히 발달한 신체를 지닌 배아, 불명확한 형태의 몸에 갇힌 영혼들 등, 이즈미 카토가 불러내는 존재들은 매혹적이면서도 수수께끼 같은 미묘한 느낌을 준다. 특징이 거의 없는 익명의 실루엣과 낯선 얼굴은 단순한 형태와 강렬한 색을 강조한다. 타원형 머리에 두 개의 크고 깊이를 알 수 없는 눈이 나타나며, 희미하게 그려진 코와 입을 제외하면 아무것도 묘사하지 않는다. 원시 미술을 떠올리게 하는 이 표정들은 토템과 생명과 무생물을 아우르는 영적인 힘에 대한 애니미즘 신앙을 연상시킨다. 이 마법 같은 존재들은 이성보다 직관에 기반한 원초적이고 보편적인 인간의 형태를 구현하며, 관람객들이 자기 자신을 인식하도록 초대한다.


이즈미 카토는 2000년대부터 일본과 전 세계 각지에서 열린 전시를 통해 국내외적 주목을 받았다. 2007년에는 로버트 스토어가 기획한 제 52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전에 초청받았다.



À propos de l'artiste
Liste des oeuvres
ENTRANCE HALL
1ST FLOOR
2ND FLOOR
OUTDOOR SCULP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