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ine
Iván ARGOTE, Daniel ARSHAM, Sophie CALLE, Mathilde DENIZE, Bernard FRIZE, Hans HARTUNG, Thilo HEINZMANN, KIM Chong-Hak, LEE Bae, Mr., Takashi MURAKAMI, Park Seo-Bo, Paola PIVI
group show
28 mars - 27 avril 2024
+ ajouter à mon calendrier
Seoul

10 Dosan-daero 45-gil, Gangnam-gu

Perrotin Seoul is delighted to present Imagine, a group exhibition featuring thirteen artists represented by the gallery. This exhibition offers a diverse array of artworks that showcase each artist's unique artistic language, spanning various media across paintings, sculptures, installations, and photography. Through the exhibited works, which hint at the infinite possibilities and potential of visual art, the show sparks our artistic inspiration and imagination by inviting visitors to explore new sensation and thoughts.


페로탕 서울은 봄을 맞이하여 갤러리를 대표하는 작가 13인의 단체전 <Imagine>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는 회화, 조각, 설치, 사진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각자의 독창적 예술 언어를 발전시켜 온 작가들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시각 예술의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암시하는 작품들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관람객에게 새로운 감정을 느끼고 사유하게 함으로써 우리의 예술적 영감과 상상력을 자극할 것이다.

Born in Bogota, Columbia in 1983, Iván Argote is an artist based in France working freely across various media including sculpture, installation, and film to questi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institutions, beliefs, and systems of power. Through the affect, emotion, and humor in his work, he proposes a critical approach to dominant historical narratives, attempting to decenter them. Argote’s previous presentations of intervening in public space test our special relationship with history and relics. By simulating the removal of a statue in honor of Marshal Joseph Galliéni in Paris (Au Revoir Joseph Gallieni, 2021) and the relocation of a sculpture dedicated to Christopher Columbus in Madrid (Paseo, 2022) the artist metaphorically exposes our illusion and attachment to the fictional narratives that constitute the history of nations.


Wild Flowers is a series of sculptures reproducing different parts of the George Washington statue on Wall Street. These isolated body parts (torso, pelvis, hands, fingers, feet) were hollowed out and cast in bronze. The sculptures act as flowerpots, containing plants native to the region where they are exhibited. Wild Flowers shows an "anticipation" of a future where nature would take over and invade the debris of a statue erected to the glory of the "founding father" of the United States.


1983년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출생하여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 이반 아르고테는 조각, 설치,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자유롭게 오가며, 작품을 통해 타인, 제도, 신념과 권력 체계의 긴밀한 관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작품을 통해, 정감이나 감정, 유머를 전략으로 삼아 지배적인 역사 서사에 대한 비판적 접근 방식을 제안하고, 이를 탈중심화하려고 시도한다. 그가 작품을 통해 선보이는 공공 공간에 대한 개입은 우리가 역사 및 유물과 맺고 있는 특별한 관계를 실험하는 것이다. 일례로 그의 파리 조셉 갈리에니 장군 동상 철거 시뮬레이션(Au Revoir Joseph Gallieni, 2021)이나 마드리드 콜럼버스 조각상 이전 시뮬레이션(Paseo, 2022)은 국가 역사를 구성하는 허구적 서사에 대한 우리의 환상과 집착을 은유적으로 드러내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Wild Flowers> 시리즈는 뉴욕 월 스트리트에 있는 조지 워싱턴 동상을 부분적으로 재현한 작품이다. 작가는 청동으로 주조한 동상을 몸통, 골반, 손, 손가락, 발 등 여러 신체 부위로 나누었다. 이 연작은 전시되는 지역에서 자생하는 야생화를 담는 화분 역할을 한다. 야생화는 미국 ‘건국의 아버지’의 영광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동상의 잔해를 자연이 장악하고 침범할 ‘미래’를 암시한다.


Exhibited:

≪Return to Nature≫, Pearl Art Museum, Shanghai, 2023. 6. 22. - 10. 25.

Daniel Arsham is a 1980 Cleveland-born who studied painting at the Cooper Union in New York and now works across various genres and mediums including painting, sculpture, drawing, film, fashion, and architecture.

“The Fictional Archeology” is a key to understanding Arsham’s practice stems from the recognition that our present will eventually be the past in the distant future. The artist creates plastered objects of everyday items such as cameras, microphones, cassette players, and payphones, and with geological mediums such as sand and volcanic ash, transforms them to appear as if they had just been excavated, thus making the present past. In this eerie yet playful works of Arsham which sits somewhere between Romanticism and Pop Art, present, future, and past metaphorically collide, as the artist experiments with the timelessness of symbols and representations throughout cultures.


회화와 조각, 드로잉, 영화, 패션, 건축 등 다양한 장르와 매체를 넘나들며 작업하는 현대미술가 다니엘 아샴은 1980년 미국 클리블랜드 출생으로, 뉴욕 쿠퍼 유니언에서 회화를 전공한 뒤,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다니엘 아샴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인 ‘허구의 고고학(the fictional archeology)’은 우리의 현재도 먼 미래에는 결국 과거가 된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작가는 카메라, 마이크, 카세트 플레이어, 공중전화 같은 물건을 석고로 만들고, 모래와 화산재 같은 지질학적 재료를 활용해 이들을 방금 발굴된 것처럼 연출해 현재를 과거화하는 일련의 작업들을 선보였다. 낭만주의와 팝아트 사이에 자리한 섬뜩하면서도 장난스러운 아샴의 세계관 속에서 현재와 미래, 과거는 은유적으로 충돌하며, 작가는 특정한 상징과 표현의 무시대성을 문화 전반에 걸쳐 실험하고 있다.


Sophie Calle, born in Paris in 1953, is a French conceptual artist who is best known for her distinct narrative elements and frequent combination of images with text. The Ghosts of Orsay is a series of 9 works originally presented in her 2022 solo show at the Paris Orsay Museum. The building was an abandoned train station and hotel before it became the Orsay Museum with a notable French national collection of 19th-century art. In the years 1978 to 1981, the artist spent her days in Room 501 of the abandoned hotel, chasing traces of the past. When she returned to the site to prepare her solo show in 2022, she encountered several ghosts of Orsay: the former hotel guest, the museum visitors, and her own from her past stays.

The series of composed texts delving into the artist’s shared history with this emblematic Parisian building, three black and white photographs shot at the time she stayed in Room 501, a text compiling notes addressed to Oddo (the former hotel handyman), a colored photograph of the back of the canvas of Cuno Amiet’s Deep Winter, and a colored photograph of a painting now belonging to the collection of the Orsay Museum.


프랑스의 개념미술가 소피 칼은 1953년 파리 출생으로, 독특한 내러티브와 이미지, 텍스트를 조합하는 작업 방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The Ghosts d’Orsay(오르세의 유령)>은 2022년 파리 오르세 미술관에서 열린 소피 칼의 개인전에서 선보여진 작품이다. 오르세 미술관은 19세기 프랑스 국립 미술품을 포함한 중요 소장품을 지닌 현재의 모습이 되기 전에는 오랜 기간 운영이 중지된 기차역과 호텔이었다. 작가는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이 빈 호텔의 501호에 오가고, 머무르기도 하며 과거의 흔적을 쫓았다. 2022년 미술관 전시를 준비하며 이곳을 다시 찾았을때, 작가는 과거 호텔의 투숙객, 미술관의 관람객, 그리고 호텔에 머무르던 과거의 자신을 비롯한 오르세의 여러 유령을 마주하게 된다.

작품의 각 부분은 파리의 상징으로 자리잡은 이 미술관 건물과 그 역사를 탐구하는 문헌 자료, 작가가 과거 501호에 머물며 찍은 흑백 사진 세 장, 오도(호텔 종업원)에게 발송한 메모, 퀴노 아미에의 작품 <Deep Winter>의 캔버스 뒷면을 찍은 사진, 현재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된 그림의 컬러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Exhibited:

≪Les fantômes d’Orsay≫, Musée d’Orsay, Paris, 2022. 3. 15. - 6. 19.

Mathilde Denize was born in 1986 in Sarcelles, France, and graduated from the École des Beaux-Arts in Paris. She explores various media including painting, installation, sculpture, performance, and video, driven by a quest to uncover meaning in our fragmented present. Denize collects discarded objects, cuts up her previous works, and weaves them into new forms with found materials. These remnants of the past serve as a metaphor for the complexity of human being. Influenced by experimental artists like Carolee Schneemann, Denize also utilizes the body as a medium in her works, delving into themes of representation and transformation. This approach of excavating old objects, repurposing, and transforming them, and aesthetically engaging with them while retaining their fragments and components is a fundamental aspect of Denize's artistic practice.


1986년 프랑스 사르셀 출생의 마틸드 드니즈는 프랑스 파리의 미술 학교인 에콜 데 보자르를 졸업했으며, 회화, 설치, 조각, 퍼포먼스, 비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실험하는 작가이다. 그의 작업은 파편화된 현재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되었다. 작가는 버려진 물건을 수집하고, 자신의 이전 작품을 오려내어 이를 발견한 재료와 함께 새로운 형태로 엮어낸다. 이렇듯 과거의 잔재를 통해 탄생하는 드니즈의 작품은 인간의 복잡한 존재에 대한 은유이기도 하다. 캐롤리 슈니먼과 같은 실험 미술가에게 영향받은 작가는 신체를 재현과 변형을 탐구하는 실험적 작품의 소재로 차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오래된 물건을 발굴하거나, 오브제의 용도를 변경, 변형하는 작업 방식과 대상의 파편과 구성 요소를 남겨두면서 이에 미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론은 드니즈 작품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Bernard Frize, a leading figure in French contemporary painting, was born in Saint-Mandé, France in 1949 and now works based in Berlin, Germany.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Frize expanded his practice of conceptual abstraction throughout half a century. In Frize’s paintings, ‘abstraction’ is not presented in a difficult or heavy language but as a frame filled with sensational colors and energetic brushstrokes. Above his brushstrokes, paint spreads out with a mind of its own, disrupting structured lines and the remains of ambiguous masses and traces of the paint suggest all our senses: sight, sound, and touch. Breaking free of the traditional stereotype of abstract painting as esoteric, Frize’s paintings draw a new interaction from the viewers through his original expressive touches and reflect his complex and ever-evolving relations between him as an artist and his life, the act and materiality of painting.


프랑스 현대 회화를 대표하는 작가 베르나르 프리츠는 1949년 프랑스 생망데에서 태어났으며, 독일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반세기에 이르는 화업을 통해 작가는 독창적인 개념적 추상회화를 전개해 왔다. 프리츠의 회화에서 ‘추상’은 어렵고 무거운 관념적 언어가 아닌, 눈부신 색채와 역동적인 붓질로 가득 찬 화면으로 제시된다. 작가의 붓질 위로 물감은 제멋대로 번져나가며 체계적으로 그어진 획을 망가뜨리고, 무정형의 모호한 물감 덩어리와 흔적은 시각, 청각, 촉각을 아우르는 우리의 모든 감각을 암시한다. 기존의 난해한 추상회화에 대한 고정 관념을 탈피하고, 자신만의 표현 방법을 통해 작품과 관객 간의 새로운 교감을 이끌어내는 프리츠의 회화는 화가로서 자신의 삶, 작품의 물성, 그리는 행위와 같이 복합적이며 끊임없이 진화하는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

Born in Leipzig, German, Hans Hartung (1904-1989) achieved international recognition as a seminal figure of art informel, a movement that emerged in France during World War II. Beyond the apparent spontaneity of his distinctively bold and almost calligraphic gestural abstraction, rationalism equally informed his style, which arose out of an early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mathematics—particularly the harmony of the golden ratio. Believing strongly in the freedom of thought and action, Hartung forged a unique blend of abstraction and gestural painting, producing works characterized by thick lines and smudges reminiscent of calligraphy.

His breakthrough came when he was awarded the Grand Prize for painting at the 1960 Venice Biennale, marking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his artistic journey. Hartung began to improvise on canvas and experimented with new methods, including fast-drying acrylic colors, and scraping and sprinkling techniques. The quest for balance between spontaneity and perfection remained at the core of Hartung’s painterly aesthetics until his passing.


독일 라이프치히 출생의 한스 아르퉁(1904-1989)은 프랑스의 대표적 추상 화가로, 제2차 세계대전 중 프랑스에서 일어난 앵포르멜 운동의 주요 인물이기도 하다. 작가의 대담하고 서예적인 추상화의 즉흥성 외에도, 미학과 수학의 관계, 특히 황금 비율의 조화에 대한 그의 초기 관심에서 비롯된 합리주의는 작가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사람들이 각자 자신의 생각과 행동, 외부의 구속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믿은 그는 추상화와 제스처 회화를 독창적으로 발전시키며, 마치 서체를 연상시키는 두터운 선과 얼룩들로 가득 찬 작품을 제작했다.

1960년 베니스비엔날레 대상 수상은 그의 작업 방식에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캔버스에 즉흥적으로 그리기 시작했으며, 빠르게 건조되는 아크릴 물감과 긁어내고 뿌리는 기법 등 새로운 방식을 실험했다. 그의 즉흥성과 완벽함 간의 균형에 대한 추구는 작가가 1989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아르퉁 미학의 핵심으로 남았다.

Born in Berlin, Germany in 1969, Thilo Heinzmann studied at the Städelschule in Frankfurt. Heinzmann is a painter in the emphatic sense of the word, fully invested in reinventing and recalibrating the capacities of the medium, while keeping a keen eye on that painting’s rich history. Using chipboard, styrofoam, nail polish, resin, pigment, fur, cotton wool, porcelain, aluminum, and hessian, Heinzmann has worked on developing new paths and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in his practice. His interest lies in the presence that each work creates, which is further enhanced by his paintings’ powerful tactile qualities. It invites the viewer to notions on the fundamental and essential elements of painting: composition, surface, form, color, light, texture, and time.


1969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난 틸로 하인츠만은 프랑크푸르트의 슈테델슐레 순수미술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하인츠만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화가로 정의한다. 그에게 화가란 회화의 물성을 재발견하고 재조정하는데 천착하며, 회화가 지닌 풍부한 유산에 대한 자각을 잃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하인츠만은 합판, 스티로폼, 매니큐어, 레진, 양피지, 가죽, 안료, 모피, 면직물, 자기, 알루미늄, 마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그의 작업에서 새로운 방법론과 독특한 시각 언어를 고안하고자 했다. 그는 각 작품이 만들어내는 존재감에 관심이 있으며, 이는 그의 작품이 갖고 있는 촉각적 특성에 의해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이것은 관객으로 하여금 구성, 표면, 형태, 색상, 빛, 질감과 시간 같은 회화의 기초적이며 필수적인 요소에 대한 개념을 환기시킨다.


Exhibited:

≪The Power of Painting≫, Ennova Art Museum, China, 2023. 9. 28. - 2024. 1. 28.

Born in 1937, Sinuiju, Pyonganbuk-do, North Korea, Kim Chong-Hak studi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Painting and is best known as the "Painter of Seoraksan" and "Painter of Flowers." Although the artist initially produced abstract informel paintings until the 1970s, since 1980, he has resided in Seoraksan Mountain and began creating representational paintings in his studio at the foothills. Considering that the prevailing style in the Korean art scene at the time was monochrome, Kim’s vibrant and intense primary-color compositions represented a radical departure from the times. The artist’s depictions of grasses, flowers, birds, stars, the moon, and the changing seasons imbue his canvases with a unique atmosphere and emotional resonance, establishing him as a distinctive figure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ainting. For Kim, nature served as both an object of admiration and a wellspring of artistic inspiration, leading him to align his work with the law of nature while exploring the essence of art itself. The fantastical hues and landscapes in Kim’s oeuvre transcend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inviting viewers to connect with the condensed energy and vitality of nature.


‘설악의 화가’, ‘꽃의 화가’로 잘 알려져 있는 김종학은 1937년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작가는 1970년대까지 앵포르멜 계열의 추상 회화 작품을 제작했지만, 1980년부터 설악산에 칩거하며 산기슭에 위치한 작업실에서 구상 회화 작업을 시작했다. 당시 한국 화단에서의 주류가 모노크롬을 필두로 한 단색조의 회화였음을 고려하면, 김종학의 화려하고 강렬한 원색 회화는 시대를 역행하는 파격적인 행보였다. 풀과 꽃, 새, 별, 달을 사생하며 울긋불긋한 자연의 사계를 담은 김종학의 작품은 독특한 정취와 감상을 자아내며, 그를 한국 현대회화사의 독보적 인물로 부상시켰다.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고, 예술의 본질을 탐구하려 했던 그에게 자연은 동경의 대상이자, 예술적 영감의 원천이었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펼쳐지는 김종학의 작품 속 환상적인 색채와 풍경은 자연의 응축된 에너지와 생명력을 느낄 수 있는 경험을 선사한다.

Born in Cheongdo, Gyeongsangbuk-do, Korea, in 1956, Lee Bae works in between Paris, Seoul and Cheongdo since 1989 after graduating from Hongik University’s Painting Department. Charcoal is a key element in Lee Bae’s monochromes which hold an image of the cycle of life through charcoals’ characteristic of being produced when firing wood then also used to revive fire.

Up to the early 2000s, Lee Bae created minimal and exquisite works utilizing “charcoal” itself, such as assemblage on canvas with fragments or chunks of charcoal or presenting carbonized wooden sculptures as objects. Working primarily with carbon black, reminiscent of charcoal, Lee Bae develops his abstract aesthetic b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drawing, sculpture, installation, and paintings based on irregular yet fundamental gestures.


이배는 1956년 경상북도 청도 출생으로,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한 뒤 1989년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와 서울, 청도를 중심으로 작업하고 있다. 이배의 모노크롬 회화에서 ‘숯’은 핵심적인 요소이다. 나무를 태우는 과정에서 만들어지지만, 불을 되살리는 데에 사용되기도 하는 숯의 특성을 통해 작가는 삶의 순환에 대한 은유를 작품에 담고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 그는 숯의 파편이나 덩어리로 캔버스 위에 아상블라주 작업을 하거나, 탄화된 나무 기둥으로 만든 조각을 오브제로 제시하는 등, ‘숯’ 자체를 활용하는 미니멀하고 정교한 작품을 제작해 왔다. 숯을 연상시키는 카본 블랙을 중심으로 작업해 온 작가는 무작위적이며 근본적인 제스처를 바탕으로 한 회화 작품을 비롯해, 드로잉과 조각, 설치미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그만의 추상적인 미학 세계를 발전시켜 오고 있다.

Mr. was born in 1969 in Cupa, Japan. As one of the protégés of Takashi Murakami, a core figure of the Superflat movement, Mr. has been acclaimed for elevating low art, namely manga and anime, into a high form of expression, thereby transforming a uniquely Japanese aesthetic into a global lexicon.

The creation of Mr.'s cartoonish characters is based on the artist's awareness of his own otaku tendencies and the psychological trauma caused by adversities such as natural disasters, war, and social unrest. Beneath the innocence of his characters lies a complex psychological state influenced by these fears, which intensified significantly after World War II. This juxtaposition of form and subject results in visually striking and thought-provoking scenes that captivate viewers.


1969년 일본 쿠파 출생의 미스터는 ‘슈퍼플랫’의 핵심적 인물인 무라카미 다카시의 제자로, 슈퍼플랫 운동과 연관하여 만화와 애니메이션 같은 하위 예술을 고급 예술의 형식으로 승격시켜 일본 고유의 미학을 세계적 예술 언어로 해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스터 작품의 만화풍 캐릭터들의 탄생은 작가 자신의 오타쿠적 성향에 대한 인지와 함께 자연재해, 전쟁, 사회적 불안 등의 역경으로 비롯된 심리적 트라우마에 근거한다. 그의 작품 속 천진난만한 캐릭터들이 보여주는 이면에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증한 이러한 심리적 두려움을 포함한 복합적 심리상태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미스터의 작품 형식과 주제의 충돌은 시각적으로 생생하고 매력적인 장면을 만들어내며, 관객으로 하여금 그 간극에 대해 숙고하게 한다.

Takashi Murakami, a leading figure in Japanese contemporary and a pop artist, was born in Tokyo, Japan in 1962 and studied Japanese painting at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where he later achieved a PhD. Murakami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Superflat," which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fine and popular art, incorporating and combining otaku culture, a prominent aspect of Japanese mass culture, into high art.

In 2000, Murakami curated a group exhibition Superflat at the Parco Museum, Tokyo and Parco Gallery, Nagoya and presented the show again at Los Angeles Museum of Contemporary Art (MOCA) in the following year. Through the exhibition, where he claimed the "flatness" of Japanese art history and the cultural phenomenon in which social classes and popular preference became "flatten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high and low was blurred, the artist sought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Western culture and Japanese society and art, and anime and Japanese painting. He continues his experimentation with the boundaries of art, exploring its infinite possibilities through collaborations with fashion brands, corporations, entertainment, influencers, and commercial characters.


일본을 대표하는 현대미술가이자 팝아티스트인 무라카미 다카시는 1962년 일본 도쿄에서 출생, 도쿄 예술대학에서 일본화를 전공했으며, 이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다카시는 순수 미술과 대중 예술을 모두 아우르며, 그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슈퍼플랫’ 개념을 생산하였고, 이를 통해 일본 대중 문화의 대표적 양상인 오타쿠 문화를 고급 미술에 편입, 결합한 인물이다.


2000년, 그는 도쿄 파르코 미술관과 나고야 파르코 갤러리에서 단체전 《슈퍼플랫》을 기획하고, 이듬해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MOCA)에서 해당 전시를 다시 선보였다. 전시를 통해 다카시는 일본 미술사의 ‘플랫함’과 사회 계급과 대중의 기호가 ‘납작’해지고, 고급과 저급의 차이가 모호해지는 문화적 양상을 담은 ‘슈퍼플랫’ 이론을 제시하며, 전후 일본 사회와 예술, 애니메이션과 일본화, 서구 문화 간 상호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다카시는 패션 브랜드, 기업, 엔터테인먼트, 인플루언서, 상업 캐릭터 등과의 협업으로 예술의 무한한 가능성을 모색하며, 여전히 그 경계를 실험하고 있다.

Park Seo-bo (1931-2023), a key figure in the Dansaekhwa movement and a master of Korean art, was born in Yecheon, Gyeonsangbuk-do, Korea. Park pioneered Dansaekhwa, which emerged in the 1970s, a post-war era in Korea, and became the most significant movement in Korean art. He is renowned for his Écriture series that highlights the concept of performance through subconscious acts, repetition, meditative practice, and the materiality of hanji (Korean mulberry paper). His series of paintings, evolving over time through changes in materials and techniques, align with the core ethos of Dansaekhwa, where the act of painting is completed by emptying the purposefulness of the painting. Park also aims to bridge traditional Korean ontological ideas with Western naturalism, which were severed after the war. He believes that nature is not in opposition to humans and civilization, but rather an entity intrinsically connected to society. This perspective is reflected in all aspects of Park’s work, including colors and materials.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이자 단색화의 아버지로 알려진 박서보(1931-2023)는 경상북도 예천 출생으로,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박서보는 전후 한국에서 1970년대 출현하여 현재는 한국 미술의 가장 중요한 사조 중 하나로 자리 잡은 단색화 운동을 이끈 대표적인 인물이다. 작가는 무의식적인 행위의 반복, 명상을 통한 수행의 개념과 한지의 물성을 강조한 ‘묘법’ 연작으로 잘 알려져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료와 방식을 변화시키며 발전해 온 묘법 연작은 그리는 행위가 목적성을 지니지 않고, 비워냄으로써 완성되는 단색화의 핵심적인 정신성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또한 그는 작품을 통해, 전후 단절된 한국의 전통적인 존재론적 사상과 서구 자연주의의 연결점을 찾고자 했다. 그는 자연은 인간과 문명에 대립하는 것이 아닌, 사회와 본질적으로 연결된 실체라 여겼으며, 이러한 자세는 색, 물성, 재료를 포함한 박서보 작품의 모든 요소에서 찾아볼 수 있다.

Born in 1971 in Milan, Italy, Paola Pivi is a multimedia artist based in both Milan and Alaska. She initially pursued studies in chemistry at Politecnico di Milano but later found her passion for art and enrolled in Accademia di Brera. Describing art as an "impossible miracle," Pivi utilizes unrealistic elements as materials for her work, creating a surreal dimension of everyday life that never truly existed. Her enigmatic creations blend the alien with the familiar. Through altering the scale of commonplace objects or applying unconventional colors and materials, Pivi prompts viewers to perceive them in a new light. Spanning sculpture, video, photography,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the artist continually pushes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turning the impossible into possible.


1971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난 파올라 피비는 알래스카와 밀라노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이다. 밀라노 공과대학교에서 화학을 공부했으나, 예술에 매료되어 공학 공부를 중단하고 브레라 국립미술원에 입학했다. 예술을 ‘불가능한 기적’이라고 말하는 작가는 비현실적 요소들을 예술의 재료들로 활용하여,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다른 차원의 일상을 눈앞에 펼쳐 보인다. 수수께끼 같은 그의 작품에는 낯설음과 익숙함이 혼재되어 있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익숙한 대상의 규모를 변형하거나, 그것에 새로운 색과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관객이 그것을 낯설게 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조각, 비디오, 사진, 퍼포먼스, 설치까지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작가는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며 우리가 지각하는 한계를 벗어나는 시도를 계속하고있다.


Liste des oeuvres
Floor 1
Floor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