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Dosan-daero 45-gil, Gangnam-gu
Seoul, South Korea
Perrotin Seoul is pleased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by German painter Thilo Heinzmann, born in 1969. The show marks the artist’s second solo exhibition in Korea, following his debut at Perrotin Seoul in 2017. The exhibition features over 10 of Heinzmann’s latest works, created between 2023 and 2024.
페로탕 서울은 1969년 독일 출생의 화가 틸로 하인츠만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2017년 페로탕 서울에서 열린 작가의 한국 첫 개인전 이후, 국내에서 두번째로 선보이는 이번 전시에서는 작년부터 올해까지 제작된 하인츠만의 최신작 10여점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Thilo Heinzmann’s signature ‘pigment paintings’ – abstract compositions of divergent and overlapping tangential calligraphic marks augmented with bursts of pure pigment exploding across the surface – are all both unique and part of a greater ongoing conversation. When the artist himself speaks, his observations and ideas tumble over each other in quick succession, just like his ebullient and enticing work. Heinzmann is a passionate cultural enthusiast with eclectic interests, including serious music and odd pockets of art history. It is the artist’s generous curiosity which enlivens and propels the interconnectedness, the vectors, tangents and sense of space-time travel in his haptic work. His thought-life and art-making are all part of a continuous, open-ended flow. A flow of consciousness that leaves seductive marks and traces.
틸로 하인츠만의 대표작인 '안료 회화(pigment paintings)'는 서로 다르고 겹쳐진 접선 형태의 붓질과, 작품 표면에 폭발적으로 분출되는 순수한 안료의 추상적 구성으로 이뤄진다. 이 작품들은 각각 독창적이면서도 더 큰 규모로 지속되는 대화의 일부다. 작가가 직접 말을 할 때면, 열정적이고 매혹적인 그의 작품처럼 관찰과 아이디어가 빠르게 연이어 서로 뒤엉켜 쏟아져 나온다. 하인츠만은 다방면에 관심을 가진 열성적인 문화애호가로, 클래식 음악과 미술사의 특이한 분야들에도 깊은 관심을 보인다. 그가 보여주는 풍부한 호기심은 그의 촉각적 작품에서 드러나는 상호 연결성, 궤도, 접선, 그리고 시공간 여행의 감각에 활기를 불어넣고 이를 이끌어간다. 그의 사고 과정과 예술 창작은 모두 지속적이고 열린 흐름의 일부이며, 이러한 의식은 매혹적인 흔적과 자취를 남긴다.
upfront, wild and unchained (2024), his latest and second major solo exhibition in Seoul, comprises around ten recent untitled abstract pigment paintings. One pair (both O.T., 2023) are both three-meter-wide panoramic compositions which feature a palette moving from mauve to pinks, and blues to moments of emerald. In these visually dramatic paintings, lines and forms traverse or progress, even dance, rhythmically across the pictorial plane with abandon. Heinzmann’s pigment paintings emerge from a process which, on one hand, he predetermines and calibrates, but which also sets free energy and chance encounters beyond his control. The emergence of each composition on a wet surface thus becomes revelatory, harnessing the power of the ‘deliberate accident’ and intuition based on honed experience turned to decisive action. The results are, indeed, upfront, wild and unchained, as too are the effects on our imaginations.
《순수, 자연 그리고 해방》은 서울에서 열리는 하인츠만의 두 번째 개인전으로, 제목을 따로 붙이지 않은 추상적 안료 회화 10여점으로 이뤄진다. 이 가운데 대략 3미터에 이르는 두 점의 작품 <O.T.>(2023)는 긴 파노라마 구도로, 연보라색과 분홍색, 그리고 청색과 에메랄드 색조가 번갈아 나타나는 색채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시각적으로 극적인 이 회화 작품들에서는 선과 형태가 화면을 가로지르고 전개되며, 심지어 자유분방하게 리듬감 있는 춤을 추듯 움직인다. 하인츠만의 안료 회화는 그가 미리 계획하고 조정한 방향에서 비롯되지만, 동시에 그의 통제를 벗어난 에너지와 우연한 만남을 자유롭게 해방시키는 과정에서 탄생한다. 따라서, 각 구성이 젖은 표면 위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계시적인 것이 되며, 이는 ‘의도된 우연’의 힘과 숙련된 경험에 바탕을 둔 직관을 결정적 행위로 전환시킨다. 그 결과는 말 그대로 ‘순수하고, 자연적이며, 완전히 해방된’ 것이며, 우리의 상상력에도 마찬가지로 강렬한 영향을 미친다.
The artist’s works have an intense corporeal immediacy that sets daydreams loose. They appear as if made in a moment of exuberance a second ago, but then continue to form, rotate, drift, and float in perpetuity in the mind’s eye. The pigment paintings are like mind maps. Their networks of forms also suggest firing synapses. They appear to speak expansively to interiority. For the artist, various groups of the pigment paintings have different conceptual starting points, for example, aerial urban topographies or complex personal relationships. The artist, however, invites us to freely interpret what we see, hence the lack of descriptive or sign-post titles. After all, abstraction is not a painting of something. It is something. Heinzmann knows to paint in this manner is to set things in motion without controlling the ultimate destination. Abstraction is perhaps the only form which might not limit the art and life dialogue the artist is having with himself, everyone around him, and the world.
하인츠만의 작품들은 공상을 불러일으키는 격렬한 신체적 즉각성을 지닌다. 그의작품은마치방금전의어느열정적인순간에만들어진듯보이지만, 이내 우리의 마음속에서 끊임없이 형성되고, 회전하고, 떠돌며 부유하는 듯한 인상을 남긴다. 그의 안료 회화는 마치 생각의 지도를 그려내는 과정과도 같다. 작품 속 형태의 네트워크는 마치 활발하게 작동하는 신경 시냅스를 연상시키며, 내면의 세계와 광범위하게 소통하는 것처럼 보인다. 작가에게 있어 안료 회화로 이뤄진 다양한 조합은 각기 다른 개념적 출발점에서 시작한다. 공중에서 본 도시 지형이나 복잡한 인간 관계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작가는 관람자의 자유로운 해석을 유도하기 위해, 설명적이거나 지시적인 제목을 붙이지 않는다. 결국 추상이란 무언가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다. 하인츠만은 이런 방식으로 그리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지를 통제하지 않고, 하나의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것임을알고있다.어쩌면추상은작가가자기자신과그를둘러싼모든이들, 그리고 세상과 나누는 예술과 삶의 대화를 제한하지 않는 유일한 형태일지도 모른다.
The articulated surfaces of the pigment paintings exhibit a precision, confidence and utter nakedness. ‘You see everything’ the artist has noted. It is no surprise, then, that he first explored the techniques involved as far back as in 1994, and has been perfecting them ever since. Back then, it was in part the conceptually minded painter’s response to the game changing arrival of PCs in the art academy. It would not be until 2008 and later, however, that the pigment paintings assumed their full, albeit non-exclusive, place in Heinzmann’s oeuvre. Today, the artist still first prepares the ground of his new paintings by disrupting the binary code of the linen weave with the random texture of micro peaks and troughs resulting from a rolled painted ground.
안료 회화의 표면은 정밀함, 자신감, 그리고 완전히 드러난 모습으로 표현된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에서 모든 것이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그가 1994년에 처음으로 이와 관련한 기법을 탐구하고, 그 후로 계속해서 자신만의 방법론을 완성시켜온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당시 이는 개념적 작업을 펼치던 화가들이 예술 학교에 개인용 컴퓨터가 도입되면서 생긴 변화에 대응하던 움직임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안료회화가 하인츠만의 작품 세계에서 본격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은 2008년 이후의 일이다. 작가는 지금도 새로운 작품을 시작할 때, 캔버스의 직조된 표면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이진법적 규칙성을 무작위적인 질감으로 교란시키며, 새로운 그림의 바탕을 준비한다.
Over many years, Heinzmann has collected hundreds of different types of pigment from around the globe. He makes the work in an outdoor garden courtyard off his studio, in part by exposing vibrant pollen-like pigments to the elements. The wind helps and the resultant delicate pigment flares on the paintings seem somehow reproductive, life-affirming, like the scattering of visual seeds or spores. The wet surfaces are also subjected to various mark-producing physical operations that the artist is able to achieve with the help of two trusted assistants, who have worked with Heinzmann for more than a decade. ‘Over the years, we’ve developed a silent language, a way of communicating, which enables me to paint in the way I do,’ the artist noted in a recent interview.
수년 동안 하인츠만은 전 세계에서 수백 가지에 이르는 다양한 안료를 수집해왔다. 그는 스튜디오 옆에 있는 야외 정원의 안뜰에서 작품을 만드는데, 여기서 꽃가루와 같은 선명한 안료를 자연 환경에 노출시킨다. 바람이 이 과정을 돕고, 그 결과 그림 위에 섬세하게 번지는 안료의 흔적은 마치 씨앗이나 포자가 흩어지는 것처럼 생식력을 지니고 생명을 긍정하는 듯 보인다.이후 작가는 젖어있는 표면 위에 다양한 흔적을 만드는 물리적 작업을 거친다. 이 과정에는 하인츠만과 10년이 넘도록 함께 작업해 온 어시스턴트 두 명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작가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나는 수년에 걸쳐 조용한 언어, 즉 나만의 방식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해주는 소통방식을 발전시켜왔다.”고 말했다.
The story of Western abstraction, we now understand, has many more twists and turns, origin stories, strange rooms, renegade practitioners and weird resonances than once asserted in the standard canon. It is a cultural site both under ongoing construction and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Important to Heinzmann’s work’s implicit contextual background are Modernist developments specific to post-WWII Germany. Art had a crucial role amidst the rumble and, in the wake of the utter moral collapse resulting from fascism, set incongruously against the ‘economic miracle’ that followed. (A divided Germany’s art dialogue thus was quite distinct from that across the pond in the US, and different again to abstraction in South Korea, for instance.) In West Germany, for the then emergent generation, vanguard forms of abstraction played a key role in reckoning with the recent past, and the making of a reparatory break without forgetting. Heinzmann mentioned to me, for instance, of our father’s generation of artists, such as Karl Otto Götz (1914–2017), originator of the paint scraping technique and professor of Gerhard Richter and Sigmar Polke, as well as figures like painter Hans Hartung (1904–1989). Given today’s pluralistic postmodern approach to contemporary art, the mid-20th century primacy of abstract painting and the intensity of the surrounding debates last century seems hard to reanimate. Even theoretical pronouncements of the demise of the Königsdisziplin, seem now somewhat remote, and clearly premature. Firmly in the now, Heinzmann’s work speaks to abstraction’s enduring strengths: its raw threshold assertion of the art’s place in the world, its capacity to convey through materiality and presence across generations, and to speak specifically to generalities. In doing so, it is not to reconstruct an uncritical universalism, but to proffer that which we share in the imminent intersubjective present.
우리는 이제 서양 추상의 역사가 한때 정설이라고 여겨졌던 주장보다 훨씬 더 복합적이고 다양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기에는 더 많은 반전과 굴곡, 다양한 기원, 기이한 영역들, 관습을 깨는 실험적 작가들, 예상치 못한 반향들이 존재한다. 추상의 역사는 계속해서 건설되는 동시에, 고고학 조사가 진행 중인 문화 유적과 같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에서 일어난 모더니즘의 전개는 하인츠만의 작품에 내재한 맥락적 배경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예술은 혼란 속에서, 그리고 파시즘으로 인한 절대적인 도덕적 붕괴의 여파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뒤이어 찾아온 ‘경제 기적’에 이질적인 대비를 이루었다. (따라서 분단된 독일에서 이뤄진 예술 담론은 대서양 건너편 미국의 그것과는 상당히 다르며, 추상 미술에 대한 한국의 담론과도 차이가 있다.) 서독에서는 당시 새롭게 떠오르던 세대에게 전위적인 형태로 여겨졌던 추상의 형식들이 근과거를 마주하고, 이를 망각하지 않으면서도 그로부터 회복하는 단절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하인츠만은 아버지 세대의 작가들, 즉 물감을 긁어내는 기법의 창시자이자 게르하르트 리히터, 시그마 폴케의 교수였던 칼 오토 괴츠(1914~2017), 화가 한스 아르퉁(1904~1989) 같은 인물들을 내게 언급한 바 있다. 현대 미술에 대한 지금의 다원주의적이고 포스트모던적인 접근방식을 감안하면, 20세기 중반에 존재했던 추상 회화의 우위와 이를 둘러싼 20세기의 격렬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키기는 어려워 보인다. ‘절대적 규율(Königsdisziplin)’의 종말에 대한 이론적 선언조차 이제는 다소 요원해 보이며, 분명 시기상조인 것처럼 보인다. 현재에 굳건히 서 있는 하인츠만의 작업은 추상이 지닌 지속적인 강점을 보여준다. 이는 곧 세상에서 예술이 점유하는 위치에 대한 근본적 주장, 물질성과 존재감을 통해 여러 세대에 걸쳐 전달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보편적인 것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인 것이다. 이를 통해, 하인츠만의 작업은 무비판적인 보편주의를 다시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당면한 상호주관적인 현재에서 서로 공유하는 바를 나누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above texts are extracts of an essay authored by Dominic Eichler for this exhibition.
위 글은 본 전시에 대한 도미니크 아이힐러의 서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Né en 1969 en Allemagne
Habite et travaille à Berlin, Allemagne
Thilo Heinzmann, born in 1969, attended Städelschule in Frankfurt from the early 1990s in the class of Thomas Bayrle. During that time he also assisted Martin Kippenberger. A significant voice in a generation of German painters scrutinizing the medium and its history, his inventive, precise works are driven by an inquiry into what painting can be today. Using chipboard, styrofoam, nail polish, resin, parchment, leather, pigment, fur, cotton wool, porcelain, aluminum and hessian, Heinzmann has for the last thirty years worked on developing new paths and an unique visual language in his practice. He is interested in the presence that each work creates, which is further enhanced by his paintings’ powerful tactile qualities. It invites the viewer to notions on some essentials: composition, surface, form, color, light, texture, and time. In 2018 he was appointed professor of painting at Universität der Künste in Berlin.
1969년 독일 출생의 틸로 하인츠만은 1990년대 초부터 프랑크푸르트의 슈타델슐레 순수미술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재학 중 하인츠만은 조각가 토마스 바렐의 수업을 들었으며, 마틴 키펜베르거의 스튜디오 어시스턴트로 활동하기도 했다. 매체와 그 역사를 면밀히 연구하는 일련의 독일 화가 가운데 주요한 인물로 손꼽히는 하인츠만의 창의적이고 정밀한 작품은 오늘날 회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근원적 탐구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합판, 스티로폼, 매니큐어, 레진, 양피지, 가죽, 안료, 모피, 면직물, 자기, 알루미늄, 마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새로운 방법론과 독특한 시각 언어를 고안하고자 했다. 그는 각 작품이 만들어내는 존재감에 관심이 있으며, 이는 그의 작품이 갖고 있는 촉각적 특성에 의해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이것은 관객으로 하여금 구성, 표면, 형태, 색상, 빛, 질감과 시간 같은 회화의 기초적이며 필수적인 요소에 대한 개념을 다시 한번 상기하게 만든다. 2018년에는 베를린 예술대학교의 회화과 교수로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