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binets of Curiosities
Takashi MURAKAMI, Paola PIVI, Josh SPERLING, Klara KRISTALOVA, Koak, Laurent GRASSO, Nick DOYLE, Joaquín BOZ, Thilo HEINZMANN, LEE Bae
group show
10 janvier - 28 février 2025
+ ajouter à mon calendrier
Seoul

10 Dosan-daero 45-gil, Gangnam-gu

Seoul, South Korea

Perrotin Seoul is pleased to present Cabinets of Curiosities as its first exhibition of 2025. The show features a diverse range of works by renowned gallery artists such as Takashi Murakami, Josh Sperling, and Nick Doyle. In addition to the artworks, the gallery showcases its self-published art books, editions, posters, and goods in a book store format.


페로탕 서울은 2025년 첫 전시로 단체전 ≪Cabinets of Curiosities (호기심의 캐비닛)≫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갤러리를 대표하는 작가 무라카미 다카시, 조쉬 스펄링, 닉 도일 등의 다양한 작품들로 구성되며, 그동안 페로탕이 자체적으로 제작해온 아트북, 에디션, 포스터, 굿즈 등을 북스토어 형식으로 함께 선보인다.

Domenico Remps, Cabinet of Curiosities (c. 1690)

The term "Cabinet de Curiosités" originated during the Renaissance and referred to spaces where individuals displayed their collections. Explorers of the time gathered items from around the world, storing them in cabinets for display. This culture gradually evolved into early exhibition formats, featuring a wide variety of objects including sculptures, paintings, ceramics, furniture, rare books, and specimens of flora and fauna. The size and rarity of these collections determined their value, offering glimpses into the collector's tastes and wealth. Over time, such collections drew the attention of royalty and nobility,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museums. Though initially personal, these cabinets embodied core museum functions such as preservation, classification, and exhibition, eventually expanding into the concept of salons.


Furthermore, the gallery also offers a unique experience reminiscent of a “collector’s room,” blending vintage furniture with art pieces. Reflecting gallery founder Emmanuel Perrotin’s philosophy that “art should be appreciated by everyone,” this exhibition aims to provide an inviting and accessible way to experience and own art.



'Cabinet de Curiosités(진품실)’는 르네상스 시대에 등장한 개념으로, 개인의 수집품을 진열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당시 탐험가들은 전 세계에서 구해온 물품들을 수집해 진열장(cabinet)에 보관하였는데, 이러한 문화는 점차 발전하여 최초의 전시 형태를 갖추게 된다. 조각, 회화 뿐 아니라 도자기, 가구, 고서, 동식물 표본 등 다양한 물품들이 전시되었으며, 수집품의 크기와 희소성이 그 가치를 결정하였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수집가의 취향과 부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왕족, 귀족의 관심과 참여로 이어지게 된다. 진품실은 개인적 차원의 형식이었으나, 오늘날 박물관의 기능인 보관, 분류, 진열, 관람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후에는 살롱(salon)의 개념으로 확장된다.


더 나아가, 이번 전시에서는 빈티지 가구와 예술 작품이 어우러진 ‘컬렉터의 방’을 연상시키는 공간을 경험해볼 수 있다. “예술은 모두가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갤러리 설립자 엠마누엘 페로탕의 철학을 반영한 이번 전시는 보다 쉽고 친근한 방식으로 예술을 소유하고 경험하는 특별한 시간을 선사할 것이다.

Born in 1987 in Buenos Aires, Argentina, Joaquín Boz creates earthy-colored abstract paintings that rely on his physical energy, careful scrutiny and patient refinement. He spreads, scrapes, and pushes oil paints across wood panels with his hands, creating various textures and gestures that leave behind a record of his physical presence. He uses an array of undulating loops, staccato scratches, and calligraphic marks to flirt with identifiable forms without allowing them to coalesce into recognizable images. When he is not applying paint, he is wiping it away.


Every painting exhibits the presence of countless discrete decisions and organic networks of marks that record the artist’s intimate and pointed conversations with his materials. He is equally comfortable making works as large as ten by thirty feet and others as small as eleven by thirteen inches. Regardless of size, the paintings are composed of anti-heroic gestures that celebrate the potential of touch and the humble, earthbound nature of material things.



1987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출생의 작가 호아킨 보스는 신체적 에너지, 세심한 관찰, 인내심있는 정교함에 기반하여 대지(earthy)의 색으로 추상화를 그려낸다. 그는 나무 판넬 위에 손으로 유화 물감을 펴 바르고, 긁고, 밀어내며 다양한 질감과 제스처를 만든다. 그리고 이는 작가의 신체적 존재감이 고스란히 기록된 흔적으로 남게 된다. 한편 보스는 율동적이면서도 간결하며, 대담한 서예적 터치들을 유희적으로 병치하여 비구성적 화면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때로 그는 물감을 칠하는 대신 닦아낸다.


호아킨 보스의 모든 회화에는 무수히 많은 판단과 유기적 흔적이 깃들어 있으며, 이는 작가가 자신의 재료와 나눈 친밀하고도 신랄한 대화를 내포한다. 그는 가로 9미터, 세로 3미터의 대작부터 28센티와 33센티의 소품에 이르기까지 자유자재로 작업하며, 크기에 상관없이 작품들은 반영웅적 제스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스처들은 촉각의 잠재력과 땅에 뿌리를 둔 재료의 본질을 찬미한다.

Born in 1983 in Los Angeles and based in Brooklyn, Nick Doyle is keenly aware of the legacy of the American notion of Manifest Destiny. Known best for sculptural wall works made from collaged denim, Doyle infiltrates the vocabulary of Americana to examine greed, excess, and toxic masculinity. Doyle uses the road trip—a pillar of American mytholo- gy—as a point of entry to his work in order to question the persistence of Rugged Individualism as the fabric of our national identity. Through a series of mechanical miniatures, theatrical scenery, and satirical prop-like denim works, the artist foregrounds the dangers of nostalgia and our evolving relationship to consumerism. Seemingly innocuous, Doyle’s imagery—vending machine, typewriter, cigarette pack—and materials—indigo and cotton—tell a story of American colonialism and consumerism, as well as explore the influence of media on global trade systems. By employing materials that hold cultural significance, the artist both reflects on and critiques social and political agendas that are often at play in contemporary life and visual culture.



1983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브루클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닉 도일은 미국의 매니페스트 데스티니 개념의 유산을 예리하게 인식하고 있다. 콜라주 데님으로 만든 조각적인 평면 작업으로 잘 알려진 도일은 아메리카나의 어휘를 통해 탐욕, 과잉, 부조리한 남성성을 탐구한다. 도일은 미국의 대중적인 코드 중 하나인 로드 트립을 작품의 출발점으로 삼아 미국 국가 정체성의 근간인 강인한 개인주의의 지속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작가는 일련의 기계 미니어처, 연극적 풍경, 풍자적인 소품과 같은 데님 작품을 통해 향수의 위험성과 소비주의와의 진화하는 관계를 조명한다. 자판기, 타자기, 담뱃갑과 같은 도일의 이미지와 인디고(청), 면화 같은 소재는 미국의 식민주의와 소비주의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미디어가 글로벌 무역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한다. 도일은 문화적 의미를 지닌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현대 생활과 시각 문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사회적, 정치적 의제를 성찰하고 비판하고 있다.

Born in 1972, Laurent Grasso is a multi-media artist, lives and works between Paris and New York.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heterogeneous temporalities, geographies, and realities, Laurent Grasso’s films, sculptures, paintings, and photographs immerse the viewer in an uncanny world of uncertainty. The artist creates mysterious atmospheres that challenge the boundaries of what we perceive and know. Anachronism and hybridity play an active role in his strategy, which entails diffracting reality in order to recompose it according to his own rules. Fascinated by the way in which various powers can affect human conscience, Grasso seeks to grasp, reveal, and materialize the invisible, from collective fears to politics to electromagnetic or paranormal phenomena. His work reveals what lies behind common perception and offers us a new perspective on history and reality.



1972년에 태어난 로랑 그라소는 파리와 뉴욕을 오가며 활동하는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이다. 그의 작품은 이질적인 시간성과 지형, 현실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영상, 조각, 회화, 사진 등을 매체로 관객을 불확실성의 기묘한 세계로 불러들인다. 작가는 우리가 인식하는 것과 인지하는 것의 경계를 계속해서 실험하고, 그를 통해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그라소의 작품은 어느 한 시대에 속한 것이 아닌, 굴절된 현실의 재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무수한 힘들이 인간의 의식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 매료된 작가는 집단적 공포에서 정치, 전자기 또는 초자연 현상에 이르기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파악하고 드러내며 구체화하고자 한다. 그의 작품은 일반적인 인식 뒤에 무엇이 숨어 있는지 드러내고, 역사와 현실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Thilo Heinzmann, born in 1969, Germany, attended Städelschule in Frankfurt from the early 1990s in the class of Thomas Bayrle. During that time he also assisted Martin Kippenberger. A significant voice in a genera- tion of German painters scrutinizing the medium and its history, his inventive, precise works are driven by an inquiry into what painting can be today. Using chipboard, styrofoam, nail polish, resin, parchment, leather, pigment, fur, cotton wool, porcelain, aluminum and hessian, Heinzmann has for the last thirty years worked on developing new paths and an unique visual language in his practice. He is interested in the presence that each work creates, which is further enhanced by his paintings’ powerful tactile qualities. It invites the viewer to notions on some essentials: composition, surface, form, color, light, texture, and time. In 2018 he was appointed professor of painting at Universität der Künste in Berlin.



1969년 독일 출생의 틸로 하인츠만은 1990년대 초부터 프랑크푸르트의 슈타델슐레 순수미술의 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재학 중 하인츠만은 조각가 토마스 바렐의 수업을 들었으며, 마틴 키펜베르거의 스튜디오 어시스턴트로 활동하기도 했다. 매체와 그 역사를 면밀히 연구하는 일련의 독일 화가 가운데 주요한 인물로 손꼽히는 하인츠만의 창의적이고 정밀한 작품은 오늘날 회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근원적 탐구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합판, 스티로폼, 매니큐어, 레진, 양피지, 가죽, 안료, 모피, 면직물, 자기, 알루미늄, 마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새로운 방법론과 독특한 시각 언어를 고안하고자 했다. 그는 각 작품이 만들어내는 존재감에 관심이 있으며, 이는 그의 작품이 갖고 있는 촉각적 특성에 의해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이것은 관객으로 하여금 구성, 표면, 형태, 색상, 빛, 질감과 시간 같은 회화의 기초적이며 필수적인 요소에 대한 개념을 다시 한번 상기하게 만든다. 2018년에는 베를린 예술대학교의 회화과 교수로 임명되었다.

Koak, born in 1981 in Lansing, Michigan, and based in San Francisco, is a multimedia artist who uses her work to explore complex themes such as sexuality, identity, and female autonomy. Drawing from her personal background and her interest in comics, Koak’s art often delves into painful experiences and moments of tension, all infused with a sense of comedy. Her paintings, drawings, and sculptures resonate with raw, unbridled emotion, vividly portraying female figures in fluctuating states of feeling and vulnerability. With their fluid lines and curves, the characters in Koak’s works engage the audience through an authentic and thought-provoking perspective on the human experience. Through her art, Koak aims to create a visual language that empowers women and, in doing so, seeks to reclaim the agency that the world has often taken from them.



1981년 미시간주 랜싱에서 태어나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코악은 섹슈얼리티, 정체성, 여성의 자율성과 같은 주제를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전개하는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이다. 작가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와 만화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코악의 작품은 고통스러운 경험과 긴장의 순간을 담아내는 동시에, 코미디적 감각을 담아낸다. 코악의 회화, 드로잉, 조각은 날 것 그대로의 감정을 담아내며, 감정과 연약함의 기복으로 흔들리는 여성 인물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유동적인 선과곡선으로표현된코악의작품속인물들은우리의경험에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자극하며, 이를 통해 관객의 참여를 유도한다. 코악은 작품을 통해 여성과 연대하는 시각적 언어를 창조하고, 궁극적으로 여성의 주체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자 한다.

Klara Kristalova was born in former Czechoslovakia in 1967 and moved to Sweden with her parents when she was only a year old. She studied at the Roy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 Stockholm. Kristalova constructs an odd yet familiar world, inhabited by characters who are peculiar, alone, quiet, and perhaps lost—as if they have just escaped from a cruel tale and are waiting for a passerby to show them the way. Made from glazed ceramics, Kristalova’s figures evoke rawness, vulnerability, and humanity. Drawing from Nordic storytelling and traditional myths, the artist seeks to convey basic human emotions such as fear, love, sadness, and guilt, which emerge from her work like memories from our own childhoods. The landscape, though not directly represented,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her mental and physical universe, inferred in fragments from the drawings, ceramics, and bronzes that populate the dark and mysterious exhibitions she has unveiled in recent years.



클라라 크리스탈로바는 1967년 옛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태어나, 한 살 때 부모님과 스웨덴으로 이주했으며, 이후 스톡홀름 왕립미술대학에서 공부했다. 크리스탈로바는 기묘하면서도 낯익은 세계를 만들어낸다. 이 세계에는 괴짜 같고, 혼자이며, 조용하고, 어딘가 길을 잃은 듯한 인물들이 살고 있다. 그의 작품 속 인물들은 마치 잔혹한 이야기에서 막 빠져나와 지나가는 누군가가 자신을 이끌어주길 기다리는 듯한 모습이다. 유약을 입힌 세라믹으로 만든 그의 인물들은 거칠지만, 동시에 연약함과 인간미를 불러일으킨다. 크리스탈로바는 북유럽의 신화에서 영감을 얻어 공포, 사랑, 슬픔, 죄책감 같은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을 표현한다. 그녀의 작업에서는 어린 시절의 기억처럼 이런 감정들이 드러난다. 풍경은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그녀의 정신적·물리적 세계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는 최근 몇 년간 선보인 어둡고 신비로운 전시들 속에서 그녀의 드로잉, 세라믹, 브론즈 작품을 통해 단편적으로 암시된다.

Born in Cheongdo, Gyeongsangbuk-do, Korea, in 1956, Lee Bae works in between Paris, Seoul and Cheongdo since 1989 after graduating from Hongik University’s Painting Department. Charcoal is a key element in Lee Bae’s monochromes which hold an image of the cycle of life through charcoals’ characteristic of being produced when firing wood then also used to revive fire. Up to the early 2000s, Lee Bae created minimal and exquisite works utilizing “charcoal” itself, such as assemblage on canvas with fragments or chunks of charcoal or presenting carbonized wooden sculptures as objects. Working primarily with carbon black, reminiscent of charcoal, Lee Bae develops his abstract aesthetic b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drawing, sculpture, installation, and paintings based on irregular yet fundamental gestures.



이배는 1956년 경상북도 청도 출생으로,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한 뒤 1989년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와 서울, 청도를 중심으로 작업하고 있다. 이배의 모노크롬 회화에서 ‘숯’은 핵심적인 요소이다. 나무를 태우는 과정에서 만들어지지만, 불을 되살리는 데에 사용되기도 하는 숯의 특성을 통해 작가는 삶의 순환에 대한 은유를 작품에 담고 있다. 2000 년대 초반까지 그는 숯의 파편이나 덩어리로 캔버스 위에 아상블라주 작업을 하거나, 탄화된 나무 기둥으로 만든 조각을 오브제로 제시하는 등, ‘숯’ 자체를 활용하는 미니멀하고 정교한 작품을 제작해 왔다. 숯을 연상시키는 카본 블랙을 중심으로 작업해 온 작가는 무작위적이며 근본적인 제스처를 바탕으로 한 회화 작품을 비롯해, 드로잉과 조각, 설치미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그만의 추상적인 미학 세계를 발전시켜 오고 있다.

Takashi Murakami, a leading figure in Japanese contemporary and a pop artist, was born in Tokyo, Japan in 1962 and studied Japanese painting at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where he later achieved a PhD. Murakami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Superflat," which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fine and popular art, incorporating and combining otaku culture, a prominent aspect of Japanese mass culture, into high art. In 2000, Murakami curated a group exhibition Superflat at the Parco Museum, Tokyo and Parco Gallery, Nagoya and presented the show again at Los Angeles Museum of Contemporary Art (MOCA) in the following year. Through the exhibition, where he claimed the "flatness" of Japanese art history and the cultural phenomenon in which social classes and popular preference became "flatten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high and low was blurred, the artist sought to explore the interrelation- ships between Western culture and Japanese society and art, and anime and Japanese painting. He continues his experimentation with the boundaries of art, exploring its infinite possibilities through collabo- rations with fashion brands, corporations, entertainment, influencers, and commercial characters.



일본을 대표하는 현대미술가이자 팝아티스트인 무라카미 다카시는 1962 년 일본 도쿄에서 출생, 도쿄 예술대학에서 일본화를 전공했으며, 이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다카시는 순수 미술과 대중 예술을 모두 아우르며, 그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슈퍼플랫’ 개념을 생산하였고, 이를 통해 일본 대중 문화의 대표적 양상인 오타쿠 문화를 고급 미술에 편입, 결합한 인물이다. 2000년, 그는 도쿄 파르코 미술관과 나고야 파르코 갤러리에서 단체전 《슈퍼플랫》을 기획하고, 이듬해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MOCA)에서 해당 전시를 다시 선보였다. 전시를 통해 다카시는 일본 미술사의 ‘플랫함’과 사회 계급과 대중의 기호가 ‘납작’해지고, 고급과 저급의 차이가 모호해지는 문화적 양상을 담은 ‘슈퍼플랫’ 이론을 제시하며, 전후 일본 사회와 예술, 애니메이션과 일본화, 서구 문화 간 상호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다카시는 패션 브랜드, 기업, 엔터테인먼트, 인플루언서, 상업 캐릭터 등과의 협업으로 예술의 무한한 가능성을 모색하며, 여전히 그 경계를 실험하고 있다.

Born in 1971 in Milan, Italy, Paola Pivi is a multimedia artist based in both Milan and Alaska. She initially pursued studies in chemistry at Politecnico di Milano but later found her passion for art and enrolled in Accademia di Brera. Describing art as an "impossible miracle," Pivi utilizes unrealistic elements as materials for her work, creating a surreal dimension of everyday life that never truly existed. Her enigmatic creations blend the alien with the familiar. Through altering the scale of commonplace objects or applying unconventional colors and materials, Pivi prompts viewers to perceive them in a new light. Spanning sculpture, video, photography,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the artist continually pushes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turning the impossible into possible.



1971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난 파올라 피비는 알래스카와 밀라노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이다. 밀라노 공과대학교에서 화학을 공부했으나, 예술에 매료되어 공학 공부를 중단하고 브레라 국립미술원에 입학했다. 예술을 ‘불가능한 기적’이라고 말하는 작가는 비현실적 요소들을 예술의 재료들로 활용하여,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다른 차원의 일상을 눈앞에 펼쳐 보인다. 수수께끼 같은 그의 작품에는 낯설음과 익숙함이 혼재되어 있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익숙한 대상의 규모를 변형하거나, 그것에 새로운 색과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관객이 그것을 낯설게 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조각, 비디오, 사진, 퍼포먼스, 설치까지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작가는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며 우리가 지각하는 한계를 벗어나는 시도를 계속하고있다.

Born in 1984 and based in Ithaca, New York, Josh Sperling has been creating original works on canvas that encompass multiple genres. Blurring the lines between 1960s-1970s minimalism, abstract painting, architecture and design, Sperling's background in graphic design, cabinetry, woodwork and sculpture are naturally integrated into his work. The plywood panels of his canvases are intricately assembled like puzzles to form dynamic, geometric shapes, filled with intense primary or complementary colors that engage the viewer's senses.


Sperling draws inspiration from a wide range of sources to create a unique visual vocabulary characterized by boundless energy and expression. He is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e Memphis Group, an Italian design collective that operated from the early to mid-1980s; Googie style of architecture popularized in California in the 1940s; and abstract painters such as Stuart Davis and Ellsworth Kelly.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canvas, Sperling experiments with atypical shapes like circles, triangles, and curves, continually expanding the possibilities of visual art through his own pictorial language.



1984년 미국 뉴욕주에서 출생하여 뉴욕주 이타카를 중심으로 작업하는 조쉬 스펄링은 1960-1970년대의 미니멀리즘, 추상 회화, 건축과 디자인, 조각과 회화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며, 동시에 이 모든 장르를 아우르는 독창적인 캔버스 작업을 선보여왔다. 조각을 전공하고, 캐비닛 메이커로 일하며 직접 가구를 제작했던 경험과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익힌 기술은 스펄링의 작업에 자연스럽게 녹아 들어있다. 그의 캔버스의 합판은 퍼즐을 맞추듯 정교하게 조립되어 역동적이면서 기하학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고, 강렬한 원색이나 보색으로 채워져 보는 이의 오감을 자극한다.


스펄링은 디자인부터 미술사까지 다양한 자료에서 영감을 얻어 표현력과 무한한 에너지가 돋보이는 독특한 시각적 어휘를 만들어냈다. 작가는 특히 1980년대 이탈리아 산업 디자이너들이 결성한 멤피스 그룹, 1940년대 캘리포니아에서 유행한 건축 양식인 구기(Googie) 스타일, 스튜어트 데이비스와 엘즈워드 켈리 등의 추상화가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원, 삼각형, 곡선 등 비정형적 이미지로 사각형의 전형적인 화면에서 벗어나, 스펄링은 자신만의 회화 언어를 고안하며 시각 미술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Liste des oeuvres
ENTRANCE HALL
1ST FLOOR
2ND FL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