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rotin Seoul is pleased to present Happy Bunny, a solo exhibition by Emi Kuraya, a rising young artist from Japan. This marks Kuraya’s second solo exhibition in Korea, following her 2021 show at the gallery, offering an opportunity to explore a diverse selection of her works, including new paintings and drawings. Kuraya seamlessly blends a manga-inspired sensibility with painterly precision to delicately capture the subtle emotions of her characters. Through meticulous composition and refined technique, she portrays familiar urban landscapes and fleeting moments of adolescence, drawing viewers into the inner worlds of her subjects. Through this approach, the artist invites us to reflect on the quiet beauty found in everyday life.
페로탕 서울은 일본의 떠오르는 젊은 작가 에미 쿠라야의 개인전 ≪해피 버니≫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21년 페로탕 서울 개인전 이후 4년 만에 선보이는 쿠라야의 두 번째 국내 전시로, 신작 회화와 드로잉을 포함한 다채로운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쿠라야는 만화적 감수성과 회화적 섬세함을 결합하여 인물의 미묘한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정교한 구성과 유려한 회화 기법으로 묘사된 친숙한 도시 풍경과 찰나의 청소년기 순간들은 관객으로 하여금 인물의 내면세계에 공감하도록 이끌며, 이를 통해 작가는 일상 속 고요한 아름다움에 대한 깊은 성찰로 우리를 초대한다.
If you find yourself drawn to Emi Kuraya’s artworks, there are several compelling reasons for this attraction: the charm of the fragile girls and their pets, the tranquil scenes depicting the grayish cityscapes of Tokyo and its environs, and the hazy atmosphere that evokes a sense of childhood nostalgia—all of which contribute to their appeal. The list goes on, but beyond these instantly recognizable features, her works carry a sense of subtle sobriety and realism that sets them apart from the typically saccharine anime-inspired paintings. Although depicted as manga heroines, Kuraya’s girls capture a sense of presence that allows viewers to reach into the nuanced emotions of their adolescent minds.
에미 쿠라야의 작품에는 우리를 매혹하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가냘픈 소녀들과 귀여운 반려동물들, 동경과 외곽도시를 배경으로 한 회색 톤의 잔잔한 장면들, 그리고 어린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몽환적인 분위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즉각적으로 눈길을 끄는 요소들 외에도, 그녀의 작품에는 은근하게 현실을 직시하는 사실주의 경향이 깃들어 있어, 기존의 달콤하기만 한 애니메이션풍의 회화들과 차별화된다. 마치 만화 속 인물들처럼 묘사되어 있지만 쿠라야의 소녀들은 특유의 존재감을 가지고 있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이들의 미묘한 사춘기적 감수성 속으로 빠져들게 한다.
Unlike her predecessors from the 2000s, whose anime-inspired Superflat canvases primarily propagated bold, hard-edged, and bright-colored outlooks, what Kuraya assimilates into her canvas is the internal construct of manga narratives—the intricately contextualized circumstances such as locale, social status, relationship, and the subtle emotional agitation of the girl protagonists. In particular, the ineffable sensibility of girlhood—a complex combination of emotions like joy, sadness, loneliness, embarrassment, helplessness, and much more—defines Kuraya’s faint but richly loaded world. This partly social and deeply personal context—the petite bourgeois banality and the mentality of adolescence—is often densely packed and dramatized in the narratives of ‘shōjo’ manga or anime, the girls’ subgenre. It was once almost a national pastime for schoolgirls to binge-read weekly or monthly manga periodicals and watch TV animations and identify with and idolize the heroines. The fandom spread wide and far, possibly creating a basis for a shared emotional repository among impressionable audiences. It is this embedded collective memory and communal experience that Kuraya both draws upon and reminisces about, delicately incorporating them into the established traditions of drawings and paintings.
2000년대에 쿠라야의 선배 세대들이 애니메이션 유래의 슈퍼플랫(Superflat) 회화의 밝은 색채와 대담하고 견고한 윤곽선을 사용한 외관으로 명성을 날렸던 것과는 달리, 쿠라야는 특정한 장소적 맥락에서부터 사회적 위계, 관계성, 그리고 소녀 주인공들의 미묘한 심리적 동요까지 만화적 내러티브의 내적 구조를 회화에 재현한다. 특히, 소녀 시절의 형언하기 어려운 감수성—기쁨, 슬픔, 외로움, 수줍음, 무력감 등의 복합적인 감정—이 쿠라야의 흐릿하지만, 다중적으로 상징적인 세계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같은 중산계층적인 일상성이나 사춘기의 멘털이라는 한편으로는 사회적이고, 한편으로는 지극히 개인적인 맥락들은 종종 소녀 만화(少女マンガ)나 애니메이션 장르에서 밀도 높게 다뤄지는 내면적 요소들이다. 수많은 일본 여학생들이 과거에는 주간 또는 월간으로 출판되는 소녀 만화 잡지를 탐독하고 TV 만화를 보며 이야기 속 주인공에게 공감하고 또 이들을 동경하곤 했다. 만화의 팬덤은 광범위하게 퍼져, 이 감수성 풍부한 나이의 독자들에게 공통적인 감정 경험을 쌓게 했을 것이다. 쿠라야는 이렇게 양성된 공통의 기억과 공동체적 경험을 작품 속에서 그리워하듯 녹여내고 있으며, 드로잉과 회화라는 기존의 전통과 조심스럽게 결합시키고 있다.
A girl in a school uniform walking to school, posing in casual outing wear at an ordinary street crossing, or sitting on a Ferris wheel across from a boy are all easily identifiable and thus true-to-life scenes despite their anime eyes and limbs. The familiarity of the scenes makes it easier for us to empathize and extend our curiosity to their everyday lives, like wanting to delve into a manga with your favorite character. In a sense, their make-believe reality is supported by our own memories of growing up in our radiant adolescent days—going to school, meeting friends, and getting excited for a first date. Kuraya evokes not a particular character or person but personifies certain emotional imprints we once had, reconstructing them with every possible detail she meticulously renders.
교복 차림으로 등교하는 소녀, 평범한 횡단보도에서 캐주얼한 옷차림으로 포즈를 취하는 소녀, 그리고 유원지 관람차 속에서 소년과 마주 앉아 있는 소녀—이들은 모두 특별할 것 없이, 있을 법한 장면들이기에, 비록 그녀들의 눈망울과 길게 뻗은 사지가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그려져 있을지라도 이 상황에 현실감을 주고 있다. 이 장면들의 친숙함 때문에 더욱더 우리는 이들의 모습에 공감이 가고, 마치 우리가 좋아하는 캐릭터가 나오는 만화를 더 읽고 싶은 것처럼, 이들의 일상을 들여다보고 싶은 호기심과 흥미를 느낀다. 어떻게 보면, 이들의 가공의 현실은 우리 스스로의 찬란했던 사춘기의 기억—학교에 가고, 친구를 만나고, 첫 데이트에 설레던 순간 등—으로 지탱된다. 쿠라야는 특정한 인물이나 캐릭터를 소환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한때 품었던 감정의 흔적들을 의인화하여, 그 감각을 가능한 모든 디테일을 동원하여 구현하고 있다.
Understanding the landscape of each scene is also crucial when approaching the girls as it serves as the backdrop of these narratives. They almost always stand in the open air, revealing their zones of public life. They often pose alone in the middle of a sparsely populated quiet residential area—such as Cat-ear Beanie(2023), Street Corner (2024), and School Bag: I (2024)—or sometimes with other pedestrians against rows of commercial buildings—as in City Lights (2025). On some occasions, the background appears more photographic as an image compared to the depiction of the girls, as if it were a scene from a Mamoru Hosoda anime where the visual reality of the mise-en-scène enhances the veracity of the narrative.
In Kuraya, the settings, such as modest townhouses with pruned roadside bushes or city streets packed with commuters absorbed in smartphones, reflect the kind of normalcy and mundanity that she bases her stories on—the girls going out and coming back to the familiar address as daily rituals. The clean and calm residential areas and the generic yet specific portrayal of the streets make the scene both utopian and dystopian: it promises the persistence of everyday life where people perform daily tasks undisturbed, but the very calmness also suggests that there is no way out of this tranquil reality.
세부적 디테일 못지않게, 각각의 내러티브의 배경이 되는 풍경의 묘사에 대한 관심은 소녀들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소녀들은 거의 항상 야외에 서 있으며, 이는 그들의 공적 삶의 영역을 드러낸다. 이들은 한적하고 조용한 주택가 한가운데에서 홀로 포즈를 취하기도 하고—<고양이 귀 비니>(2023), <길모퉁이>(2024), <학교 가방: I>(2024)—또는 상업 건물들이 늘어선 거리에서 다른 행인들과 함께 서 있기도 한다—<도시 불빛>(2025). 때로 배경은 소녀들의 묘사보다도 하나의 이미지로서 더욱 사진적인 느낌을 주는데, 마치 호소다 마모루(細 田守)의 애니메이션 속 한 장면처럼, 미장센의 사실주의가 내러티브의 현실성을 보증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
쿠라야의 작품에서 배경들은 그녀가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한 평범한 일상성의 터전으로 기능한다. 가지런히 다듬어진 가로수가 있는 소박한 주택가나 스마트폰에 몰두한 출퇴근 인파로 붐비는 도시 거리 등의 배경 속에서 소녀들은 학교에 가거나 외출을 했다가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스스로의 의식(儀式)적 순환을 이어간다. 깨끗하고 고요한 주택가나 정형화되어 있으면서도 구체적인 길거리의 모습에는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가 공존한다. 우리가 방해받지 않고 일상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성을 약속하는 한편, 이 고요한 현실에서 벗어날 길이 없다는 암시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Some girls are caught in the middle of small out-of-the-ordinary moments. In Blue Hawaii Shaved Ice (2024), a young girl holds a cup of shaved ice at a street fair; Ferris Wheel: Girl (2023), paired with Ferris Wheel: Boy (2023) captures a private moment during a date at an amusement park. The detailed depictions of festivalgoers, street signs, and the view of a factory from the Ferris wheel cabin suggest us their return to everyday life following this brief but blissful moment of escape.
일부 소녀들은 소소하게 일상에서 벗어난 순간들 중에 포착되곤 한다. <블루하와이 빙수>(2024)에서는 한 소녀가 거리 축제에서 빙수 한 컵을 들고 있으며, <관람차: 소녀>(2023)와 <관람차: 소년>(2023)은 놀이공원에서 데이트 중인 사적인 한순간을 담고 있다. 축제 인파나 길거리 간판 등의 세밀한 묘사나 관람차 칸에서 내려다보이는 공장의 모습들은 이 짧고 행복한 일탈의 순간 이후 다시 찾아오게 될 일상성의 존재를 설득력 있게 보여주고 있다.
Kuraya’s beautifully light and airy but vivid and intricate control of oil paint only adds to the frailty and dreamy quality of the overall effect. The lightness of her touch arrives not only from the casual content of the theme, but also shares the characteristic traits of manga drawings Kuraya has been working on since prior to her formal training as a university art student. The hybridity inherent in her style is proof of the innovative potential of the centuries-old classic medium of painting, as well as Kuraya’s willingness to step beyond her comfort zone and venture into the next platform.
쿠라야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밝고 공기처럼 투명하면서도 생생하고 세밀한 유화 기법은 전체적인 작품의 덧없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더욱 강조한다. 그녀의 가벼운 터치는 단순히 주제가 편안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쿠라야가 미대생이 되기 전부터 그려온 만화적 드로잉의 성향과도 연결된다. 그녀 작품의 이러한 필연적으로 하이브리드화 된 특징은 회화라는 고전적인 매체가 가진 혁신적 잠재력을 증명하는 동시에, 쿠라야가 스스로의 익숙한 영역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플랫폼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추진력을 보여준다.
An aspiring manga professional turned rising star painter, Kuraya creates an oeuvre that revives the classic role of figure painting: to bear witness to and preserve the contemporary worldview and emotions as a next-generation artist. Her works not only draw attention to the calm, quiet beauty of daily life but also open our eyes to the myriad indescribable emotions within us—a timeless role for painting.
만화가 지망생에서 떠오르는 신예 화가로 변모한 쿠라야는 자신의 작업을 통해 동시대의 세계관과 감성을 증인으로서 기록하고 저장하는 구상 회화의 전통적 역할을 이어간다. 그녀의 작품은 우리 일상의 차분하고 조용한 아름다움을 일깨워주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 내면에 자리한 수없이 많은 형언할 수 없는 감정에 관심을 갖도록 한다. 회화가 할 수 있는 초시대적 역할이다.
The above texts are extracts of an essay authored by Shinyoung Chung(Assistant Professor, Seoul Women's University) for this exhibition.
위 글은 본 전시에 대한 정신영(서울여자대학교 조교수)의 서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Née à Kanagawa, Japon
Habite et travaille à Kanagawa, Japon
Emi Kuraya, born in 1995,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refreshing new voices in the contemporary Japanese art panorama. A graduate of Tokyo’s Tama Art University, in spite of her young age Kuraya has already had a few high-profile solo shows, in Japan and at Perrotin Seoul, Shanghai, Paris and Hong Kong, and has been exhibited at Art Basel in Basel, Hong Kong and also at Frieze New York and Seoul, receiving wide acclaim for the freshness, and the deep layers of meaning that make her work so captivating. Since 2018, Kuraya has been a member of Kaikai Kiki, the art society founded by Takashi Murakami.
에미 쿠라야(b.1995)는 현대 일본 미술에서 가장 흥미롭고 신선한 인물 중 하나이다. 도쿄의 타마미술대학을 졸업한 쿠라야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일본을비롯해 서울, 상하이, 파리, 홍콩에서 여러 차례 주목받는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스위스와 홍콩 아트바젤, 프리즈 뉴욕, 서울에도 출품하며 이목을 끌었다. 회화적인 신선함 속에 다층적 의미를 담아내는 쿠라야의 작품은 특유의 매력으로 널리 찬사를 받아왔다. 쿠라야는 2018년부터 무라카미 다카시가 설립한 아트 소사이어티 ‘카이카이키키’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