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30 - October 19, 2024
+ add to my calendar
Seoul
10 Dosan-daero 45-gil, Gangnam-gu
Seoul Corée du Sud

Perrotin Seoul is pleased to present Ghost in the Machine, a solo exhibition by Canadian artist Jason Boyd Kinsella, based in Oslo. At the core of Kinsella's art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human mind and psychology. Drawing on subjective perspectives and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the artist explores the nature of the human psyche by breaking down traits and personalities into geometric units, defining individuality through various shapes, colors, and sizes.



페로탕 서울은 노르웨이 오슬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캐나다 출신 작가 제이슨 보이드 킨셀라의 개인전 《기계 속의 유령》을 개최한다. 킨셀라 작업의 핵심은 인간의 내면과 심리를 형상화하는 것이다. 작가는 주관적 시점과 MBTI 테스트에 기반하여 인물의 특성과 성격을 기하학적 단위로 세분화하고, 모양, 색상, 크기를 달리하여 각각의 개성을 정의함으로써, 인간 심리의 본질을 탐구한다.

View of Jason Boyd Kinsella’s solo exhibition “Ghost in the Machine” at Perrotin Seoul, 2024.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The exhibition's title, "Ghosts in the Machine," is a phrase coined by British philosopher Gilbert Ryle to describe his critique of mind-body dualism, a theory advocated by French philosopher René Descartes. This theory posits that the body and mind are fundamentally distinct substances and that they can 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Ryle criticized this distinction for failing to account for the interaction between body and mind. Kinsella's paintings focus on isolating and revealing the unseen self (mind) as an entity separate from physical space (body or material existence). While traditional Western portraiture has aimed to represent the body through external depictions, Kinsel- la's works are psychological portraits emphasizing the intercon- nectedness of the mind and body while still distinguishing between them. As the artist puts it, this approach offers "a new way of representing the self today."



전시의 제목인 ‘기계 속의 유령’은 영국의 철학자 길버트 라일이 프랑스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가 주장한 심신이원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문구이다. 심신이원론은 몸과 마음을 각기 다른 종류의 실체로 보며, 더 나아가 정신(마음)과 물체(몸)가 서로에게 의존하지 않고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는 몸과 마음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지 못했기에, 라일은 이러한 구별을 비판했다. 킨셀라의 회화는 보이지 않는 자아(마음)를 물리적 공간(신체 혹은 물질적 존재)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존재로 분리하고, 드러내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과거 서양의 초상화가 외면의 묘사를 통해 육체 그 자체를 표현하고자 했다면, 킨셀라는 마음과 몸을 분리함과 동시에, 정신과 육체의 상호 연결성을 강조하는 일종의 심리적 초상화를 그려왔다. 이는 작가의 표현을 빌리자면, ‘오늘날 자아를 표현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The clean surface of his paintings recalls classical art. Kinsella's paintings incorporate various elements of classical portraiture, such as finely tuned sfumato, compositions that capture the upper half of the human body, and linear perspective, but he also actively borrows from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rendering. Ultimately, his figures, created by blending analog and digital methods, are, like all good portraits, representative of contemporaries and a mirror to the complex and contradictory inner lives of people.



한편, 깔끔하게 마감된 그의 작업 표면은 고전미술의 테크닉을 떠올리게 한다. 섬세하게 조율된 스푸마토 기법이나, 인체 상반신을 담아낸 구도, 선형 원근법 등 고전 인물화의 많은 부분을 차용한 킨셀라의 회화는 그러나, 디지털 렌더링과 같은 기술을 적극적으로 차용하고 있기도 하다. 결국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오가며 만들어지는 그의 인물은 모든 훌륭한 초상화가 그렇듯, 동시대의 인물을 대변하며, 복잡하고 모순적인 현대인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이라 할 수 있다.

The below texts are extracts of an essay authored by Osman Can Yerebakan for this exhibition.


아래 글은 본 전시에 대한 오스만 칸 예레바칸의 서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There is a dynamic economy in Jason Boyd Kinsella’s paintings of cubic portraits. Reduction generates a kinetic potential for the sitter whose semblance both cherishes and complicates two pillars of portraiture, the emotional complexity and a visceral likeness. The Oslo-based Canadian traverses art’s innate essence to capture the human physicality through various penchants across time: Pre-historic simplicity of the stick figure, Renaissance era’s grasp of the facial expression for transcendence, and the distorted contemporary abstraction. He builds his case on an interplay between the malleable motifs of existence—bodily as well as cerebral—and a minimized configuration of imperative gestures, particularly the line and the circle.



제이슨 보이드 킨셀라의 3차원적 초상화에서는 역동적 간결함이 느껴진다. 그의 작품에서 보이는 대상에 대한 생략은 그 외형에 초상화의 핵심적 요소인 복합적 감정과 본능적인 유사성을 간직하면서도, 동시에 이를 무너뜨림으로써 인물에게 동적인 잠재력을 부여한다. 킨셀라는 오슬로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캐나다 출신의 작가로, 예술에 내재한 본질을 가로지르며 몇 개의 선으로 사람을 묘사한 선사 시대의 간결함, 초월을 추구하는 르네상스 시대의 표정 묘사,왜곡된형태의현대추상미술등시대의경계를뛰어넘는다양한필치로 인간의 신체성을 포착한다. 그는 신체적일 뿐 아니라 정신적인 존재의 가변적 모티프, 특히 선과 원이라는 최소한의 필수적 제스처 사이에서 벌어지는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작업 세계를 구축해 왔다.

Stripped to the essential, the oil paintings and sculptures in Ghost in the Machine incorporate the canonized into an openness for pliability. The exchange is indeed codependent. Imagination is unlocked through the aperture of forms that defy a direct representation. A tube could be a neck or a limb—or neither. Two discs resemble eyes but they also exist simply as circular shapes. This vastness of possibilities animates a portrait, broadening the vocabulary of an emotive language within geometry. “Today, there are so many ways people can escape from their true selves,” says Kinsella. “It becomes more and more confusing and difficult to ascertain a true likeness of somebody.” The intricate process of association ushers an intuitiv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viewer—the assemblage of geometric forms suggests a rather felt idea of a portrait as opposed to a deliberate illustration.



이번 그의 개인전 《기계 속의 유령》에서 선보이는 회화와 조각 작품들은 대상의 본질만 남겨진 결과로, 유연한 개방성을 통해 미술사의 정전(canon)으로 자리 잡은 이미지들을 끌어들인다. 실제로 이러한 교환은 상호의존적으로 일어난다. 직접적 표현을 거부한 형태의 틈새에서, 상상력이 만개한다. 예컨대 원통 모양이 목이나 팔다리가 될 수도 있고, 그 둘 다 아닌 어떤 것이 될 수도 있다. 두 개의 원반은 두 눈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그저 동그란 모양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이처럼 방대한 해석의 가능성은 초상화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기하학적 형상에서 감성의 어휘를 확장한다. 킨셀라는 이렇게 말한다. “오늘날 사람들이 진정한 자아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너무나 많습니다. 누군가의 진정한 모습을 확인하는 일은 점점 더 혼란스럽고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복잡한 연상 과정은 대상과 관람자 사이의 직관적 연결을 이끌어내며, 이와 같은 기하학적 형태의 조합은 의도적인 묘사가 아닌, 외려 ‘느낌으로 다가오는’ 초상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Jason Boyd Kinsella, Self-Portrait, 2024. Still image from single channel video.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The show's only video work, Self-Portrait (2024), turns Kinsella's painterly gaze towards himself. Humorous and self-satirizing, the two-and-half minutes long film lifts the curtain to the artist's creative operations and life, carrying the camera into his studio and personal space. Kinsella paints, cleans, plays guitar, and draws at a lingering Scandinavian pace while his mannerism suggests contemplation and search. The emotions however are on the viewer to predict: the artist's face remains swapped with a portrait a lá Kinsella through the video's finale. Colorful pyramids, tubes, and discs fill in for his facial features on the surface, as well as constructing, deep down, his own emotional panorama in abstraction.



이번 전시의 유일한 영상 작품인 <Self-Portrait(자화상)>(2024)은 작가의 이러한 회화적 시선을 자기 자신에게로 돌리고 있다. 유머러스하고 자기 풍자적인 2분 30초 길이의 이 영상은 작가의 스튜디오와 개인 공간으로 카메라를 가져가 그의 창작 활동과 삶을 비춘다. 여기서 킨셀라는 여유로운 스칸디나비아의 속도에 맞춰 그림을 그리고, 청소를 하고, 기타를 연주하는데, 타성에젖은듯한이런작업방식은작가의깊은사색과탐구를암시한다. 그러나 그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예측하는 일은 온전히 관람자의 몫이다. 그의 얼굴은 영상 내내 ‘킨셀라 스타일의 초상화’로 바뀌어 있다. 표면적으로는 다채로운 피라미드, 원통 모양의 튜브, 원반들이 그의 얼굴을 이루는 요소들을 대신하고, 깊은 내면에서는 자신만의 감정적 파노라마가 추상적으로 구성된다.

Kinsella internalizes the ritual of encountering a face—or the suggestion of it—through a language that he precisely conducts. Fluent in its vast juxtapositions, a tight grammar of ubiquitous patterns, such as pyramids, globes, crescents and ellipses, arise in his orchestration. He translates his visual and subjective regimen through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He was gifted the infamous World War II-era character analysis book by his mother at age 15—today, the notion of psychometric portraiture explores a complex architecture of optic codes. The kinship between a face and its emotionality is not only determined by chunky blocks and lanky sticks but also through colors that embody at a character. “A feeling-based approach,” the artist describes his attribution of hues to a poser’s layered panorama: “Rather than a conscious effort to draw from a palette, I rely on my own candid response to a connection.”



킨셀라는 그가 정확히 구사하는 언어를 통해 얼굴을 마주하는 의식, 혹은 얼굴을 암시하는 의식을 내면화하여 보여준다. 방대한 대상을 나란히 배치하는 데 능숙한 그의 작업에서는 그의 지휘를 통해 피라미드, 지구본, 초승달, 타원 등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패턴으로 구사되는 엄격한 문법이 탄생한다. 작가는 우리에게 MBTI로 잘 알려진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를 통해 자신의 시각적이고 주관적인 체계를 해석한다. 그가 성격 분석을 다룬 제 2차 세계대전 시절의 악명높은 책을 어머니에게서 선물 받은 것은 15세 때의 일로, 오늘날 심리측정의 성격을 지닌 초상화라는 개념은 시각적 코드가 지닌 복합적인 호환성과 관련된다. 얼굴과 감정의 깊은 연관성은 두툼한 블록의 형태와 가느다란 막대 모양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캐릭터를 구현하는 색상을 통해서도 결정된다. 작가는 포즈를 취하는 대상에게서 느껴지는 다층적인 파노라마에 색조를 부여하는 창작 방식을 ‘느낌에 기반한 접근법’이라고 설명한다. “의식적으로 팔레트에서 색을 선택하려 노력하기보다, (대상과) 연결의 감각에 대한 솔직한 반응에 기대곤 합니다.”라고 작가는 말했다.

From dating apps to human resource departments, the 16-character personality playbook still inhabits the fringes of daily culture, and it commits to a definitively structured chart. For Kinsella, this sharp network illustrates the interchangeability of personalities in stark compositions. The invitation to decode—both visually and emotionally—energizes the exchange with the viewer. Not unlike an Arcimboldo or a Bosch painting, Kinsella’s lexicon prompts the onlooker to process and sift an elaborate build-up, an enigmatic composite of being engineered with a delicate impermanence. The paintings’ titles simply address their subjects with their first names, suggesting an immediate, supple, and penetrable form of identity that is reminiscent of the quirkily allusive form of self-presentation online.



16가지 성격 유형(MBTI)에 따른 행동 지침은 데이팅 앱에서 기업의 인사관리 부서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일상과 문화 주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명확하게 구조화된 도표로 정리되어 있다. 킨셀라에게 이처럼 날카로운 네트워크는 성격이서로상호교환될수있다는것을분명한구성으로보여준다.이를 시각적, 감정적으로 번역하면 관객과 더 적극적으로 교류할 수 있다. 킨셀라의 시각적 어휘는 보는 이로 하여금 정교한 축적물, 섬세한 무상함으로 설계된 수수께끼 같은 존재로 이뤄진 복합체를 처리하고 걸러내도록 유도하는데, 이는 주세페 아르침볼도(1526-1593)나 히에로니무스 보스(1453-1516)의 그림과 다르지 않다. 그림의 제목은 단순히 대상의 실제 이름만을 언급하는데, 이는 즉각적이고 유연하며, 간파할 수 있는 정체성의 형태를 제시한다. 이런 방식은 온라인 상에서의 암시적 자기표현 방식을 기묘하게 연상시킨다.

The artist’s richest resource is the bond he concocts with each sitter. Whether with a friend, a family member, or a fellow artist, the essence, according to Kinsella, is to “mine the genuine connection with the person to make the work relatable.” Basing his approach on the Myers-Briggs method provides an outline that is emotional and bizarre, as much as fungible and chronologically cyclical.



작가가 지닌 가장 풍부한 자원은 그가 초상화의 모델들과 자아내는 유대감이다. 킨셀라는 “그 사람과의 진정한 관계를 파악하여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드는 것"이야말로 친구나 가족, 동료 작가와 함께 작업할 때 본질적인 부분이라고 말한다. 킨셀라의 접근 방식이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은 다소 감정적이고, 독특한 방법론으로 느껴지지만, 이는 그의 작품에 가변적이고 순환적인 윤곽을 드러낸다.

Kinsella's process requires an ongoing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He begins with a sketch in pencil, followed by incorporation of color on the computer, before the portrait takes its final form in painting. In Gareth, Kinsella employs a new technique inspired by etchings of Anders Zorn, Albrecht Dürer and Rembrandt, whereby he uses a steel tool to create etchings on black canvas, resulting in a figure that appears to emerge from the darkness. Now the artist's hand visible through his precise hand drawn lines, gesture, too, leads the way for emotion rather than only color.



그의 창작 과정에는 대상과의 지속적인 관계 맺기가 필요하다. 그는 연필로 스케치를 한 뒤 컴퓨터로 색을 입히고, 페인팅으로 초상의 최종 형태를 구현한다. <Gareth(가레스)>에서 킨셀라는 안데르스 소른(1860-1920), 알브레히트 뒤러(1471-1528), 렘브란트(1606-1669)의 에칭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강철로 만든 도구를 활용해 검은색 캔버스에 에칭을 구현하는 새로운 기법을 고안하여, 마치 어둠 속에서 인물이 나타나는 듯한 장면을 표현했다. 정교한 손놀림으로 그려진 선과 제스처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손길은 단순히 표면의 색채가 아닌, 어떠한 감정을 끌어낸다.

Depth is an ally in the artist’s quest in constructing “ethereal” but disarmingly physical portraits. Not only through the paintings but also with sculpture, dimensionality challenges and contributes to a completely analog process. Perspective tricks the eye by hinting at a digital intervention which remains an illusion. Kinsella is however far less concerned with subverting the line between the cyber and the hand, nor he attempts to thin the optic distinc- tions between the two. A delicate use of light guides towards a new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apidly-transforming human image. From face-tuning apps to personified avatars, the familiar oddity of a fluid face grasps its embodiment in the thickness of oil paint, a glorious disconnect between the flesh and the spirit. A jagged triangle utters glee or a slouched pentagon, confusion; precarious, fickle, or persistent, all feelings settle on a gentle construction of the self.



킨셀라 회화의 깊이감은 작가가 우아하면서도 현실적이고 물리적인 초상화를 구축하는 데 있어 작가의 협력자로 작용한다. 작품의 3차원적 입체감은 회화 뿐만 아니라, 조각 작품에서도 전적으로 아날로그적인 창작 과정에 난관이 되는 동시에 이를 돕기도 한다. 원근법은 디지털 기술의 개입을 암시하지만, 이는 눈속임에 불과하다. 하지만 작가는 컴퓨터 작업과 수작업의 경계를 전복하는 데에 그리 큰 관심을 두지 않으며, 둘 사이의 시각적 차이를 줄이려는 시도도 하지 않는다. 섬세한 빛의 사용은 빠르게 변화하는 인간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얼굴 보정 앱에서 의인화된 아바타에 이르기까지, 유동적으로 변하는 얼굴에서 느껴지는 친숙한 기이함이 유화 물감의 두께로 구현되며, 육체와 정신 사이의 찬란한 단절을 보여준다. 들쭉날쭉한 삼각형은 기쁨을, 구부러진 오각형은 혼란을 표현한다. 위태롭든, 변덕스럽든, 지속적이든, 이 모든 감정은 자아의 부드러운 구조 위에 자리 잡고 있다.

Jason BOYD KINSELLA

Born in 1969 in Toronto, Canada
Lives and works in Oslo, Norway


Born in Toronto, Canada, in 1969, Jason Boyd Kinsella graduated from Bishop's University in Quebec, Canada, and now works and resides between Oslo, Norway, and Los Angeles, California. With their smooth surfaces and clean finishes, Kinsella's portraits evoke past artistic movements such as classical painting, cubism, and surrealism. However, his creative process follows a thoroughly 21st-century methodology. The artist begins with sketches, fine-tunes the colors using 3D software, and then paints his subjects in oil on canvas. The results are reminiscent of classic Old Master paintings, but unlike traditional Western portraits, which aimed to recreate outward appearances, Kinsella has devised his own "psychological portraits." His work is both intriguing and unfamiliar, visually reconstructing and rearranging the multifaceted psychology of the human mind.


Since he resumed painting in 2019, Kinsella's works have been included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various art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such as Long Museum in China, Crocker Art Museum and Pérez Art Museum in the USA and Arsenal Contemporary Art in Canada.



1969년 캐나다 토론토 출생의 제이슨 보이드 킨셀라는 캐나다 퀘벡주의 비숍스 대학교를 졸업 후, 노르웨이 오슬로와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오가며 본격적인 작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킨셀라의 초상화는 매끄러운 표면과 깔끔한 마감으로 고전 회화나 큐비즘, 초현실주의 등 과거의 미술 사조를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그의 창작 과정은 철저히 21세기의 방법론을 따른다. 작가는 스케치한 뒤, 3D 소프트웨어를 통해 색채를 정교하게 조정하고, 캔버스에 유화로 대상을 그려낸다. 그 결과물은 올드 마스터의 클래식한 회화 연상시키지만, 킨셀라는 외양만을 재연하고자 했던 서양 역사 속 초상화와는 달리, 인간의 다면적 심리를 시각적으로 재구성하고 재배치하여 흥미로우면서도 낯선 자신만의 ‘심리적 인물화’를 고안했다.


2019년부터 왕성한 작업 활동을 펼쳐오고 있는 킨셀라의 작품은 중국 롱 뮤지엄, 미국 크로커 미술관, 페레즈 미술관, 캐나다 아르세날 컨템포러리 아트 등 세계의 다양한 미술 기관에 영구적으로 소장되어 있다.



More about the artist
List of artworks
ENTRANCE HALL
1ST FLOOR
2ND FL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