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eze Seoul 2024

SEPTEMBER 4-7, 2024

COEX HALL C, D

BOOTH A1

Yayoi DEKI, Mathilde DENIZE, Nick DOYLE, Bernard FRIZE, Laurent GRASSO, Vivian GREVEN, Hans HARTUNG, Thilo HEINZMANN, Gregor HILDEBRANDT, Kara JOSLYN, Susumu KAMIJO, Hun Kyu KIM, Jason BOYD KINSELLA, Koak, Emi KURAYA, Georges MATHIEU, Barry MCGEE, Jin MEYERSON, Mr., Takashi MURAKAMI, Tomoko NAGAI, ob, Danielle ORCHARD, Jean-Michel OTHONIEL, GaHee PARK, Paola PIVI, Marty SCHNAPF, Josh SPERLING, Claire TABOURET, Otani Workshop

Perrotin Seoul is delighted to return to Frieze Seoul 2024 with a curated showcase of works by renowned artists from its roster, along with artists collaborating with the gallery for the first time.



페로탕은 올해로 3회째 펼쳐지는 프리즈 서울 2024에 참여합니다. 이번 페로탕의 부스 A1에서는 독특한 개성과 캐릭터가 돋보이는 작가들의 신작과 함께, 갤러리를 대표하는 작가들과 페로탕과 첫 협업을 선보이는 작가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Born in 1977 in Osaka, Japan, Yayoi Deki is known for her exquisitely detailed painting with a vibrant color palette and distinctive technique of finger stamping. Her paintings are filled with a sense of purity and girlish innocence. In her meticulously painted work particularly the “Flags” series, her monomaniac posture represents in a collection of miniature faces elements that shape a world of colors, creating transcendent compositions made up of countless entities.


What defines Deki’s artwork is not only the techniques she uses but also the sense of bliss that manifests in the overflowing colors, the coexistence of omnipotence and idiocy in innocence, and the ambivalence of the primal madness inherent in humans, which arises from her almost magical meticulous depiction.


Deki officially debuted in the group exhibition Ground Zero Japan at Art Tower Mito (1999) followed by the notable group exhibitions Roppongi Crossing 2007: Future Beats in Japanese Contemporary Art at Mori Art Museum (2007), the 7th Venice Biennale of Architecture (2000), and the 7th Lyon Biennial (2003). She has also provided imagery for the music industry and is considered a prodigy of Japan's 2000s.


Deki will be having a solo show in Perrotin Hong Kong in January 2025.



1977년 일본 오사카 출생의 데키 야요이는 생생한 색채와 독특한 핑거 스탬핑 기법으로 만들어진 정교하고 섬세한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데키의 작품에서는 여성적인 섬세함과 순수함이 돋보인다. <Flags> 시리즈를 포함해, 데키의 작품 전반에서 엿보이는 편집광과도 같은 작가의 집념은 수많은 개체가 모여 형성하는 초월적인 색채의 세계와 초월적인 구성을 창조해낸다.


데키의 작품을 정의하는 것은 작가가 사용하는 기법 뿐 아니라, 넘치는 색채에서 분출되는 행복감, 전능함과 순진함의 공존, 인간에게 내재된 원초적 광기의 양면성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1999년 아트 타워 미토에서 열린 그룹전 <그라운드 제로 재팬>을 통해 처음으로 작품을 선보였으며, 이후 <롯본기 크로싱 2007: 일본 현대미술의 미래 비트>(2007), 제7회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2000), 제7회 리옹비엔날레(2003)등에 참가했다. 음악계와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선보이기도 한 그는 2000년대 일본의 주목할만한 아티스트로 평가받았다.


데키 야요이는 2025년 1월 페로탕 홍콩에서 개인전을 개최할 예정이다.


Mathilde Denize was born in 1986 in Sarcelles, France, and graduated from the École des Beaux-Arts in Paris. She explores various media including painting, installation, sculpture, performance, and video, driven by a quest to uncover meaning in our fragmented present. Denize collects discarded objects, cuts up her previous works, and weaves them into new forms with found materials. These remnants of the past serve as a metaphor for the complexity of human being. Influenced by experimental artists like Carolee Scheemann, Denize also utilizes the body as a medium in her works, delving into themes of representation and transformation. This approach of excavating old objects, repurposing, and transforming them, and aesthetically engaging with them while retaining their fragments and components is a fundamental aspect of Denize's artistic practice.



1986년 프랑스 사르셀 출생의 마틸드 드니즈는 프랑스 파리의 미술 학교인 에콜 데 보자르를 졸업했으며, 회화, 설치, 조각, 퍼포먼스, 비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실험하는 작가이다. 그의 작업은 파편화된 현재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되었다. 작가는 버려진 물건을 수집하고, 자신의 이전 작품을 오려내어 이를 발견한 재료와 함께 새로운 형태로 엮어낸다. 이렇듯 과거의 잔재를 통해 탄생하는 드니즈의 작품은 인간의 복잡한 존재에 대한 은유이기도 하다. 캐롤리 슈니먼과 같은 실험 미술가에게 영향받은 작가는 신체를 재현과 변형을 탐구하는 실험적 작품의 소재로 차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오래된 물건을 발굴하거나, 오브제의 용도를 변경, 변형하는 작업 방식과 대상의 파편과 구성 요소를 남겨두면서 이에 미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론은 드니즈 작품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Born in 1983 in Los Angeles and based in Brooklyn, Nick Doyle is keenly aware of the legacy of the American notion of Manifest Destiny. Known best for sculptural wall works made from collaged denim, Doyle infiltrates the vocabulary of Americana to examine greed, excess, and toxic masculinity. Doyle uses the road trip—a pillar of American mythology—as a point of entry to his work in order to question the persistence of Rugged Individualism as the fabric of our national identity. Through a series of mechanical miniatures, theatrical scenery, and satirical prop-like denim works, the artist foregrounds the dangers of nostalgia and our evolving relationship to consumerism. Seemingly innocuous, Doyle’s imagery—vending machine, typewriter, cigarette pack—and materials—indigo and cotton—tell a story of American colonialism and consumerism, as well as explore the influence of media on global trade systems. By employing materials that hold cultural significance, the artist both reflects on and critiques social and political agendas that are often at play in contemporary life and visual culture.



1983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브루클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닉 도일은 미국의 매니페스트 데스티니 개념의 유산을 예리하게 인식하고 있다. 콜라주 데님으로 만든 조각적인 평면 작업으로 잘 알려진 도일은 아메리카나의 어휘를 통해 탐욕, 과잉, 부조리한 남성성을 탐구한다. 도일은 미국의 대중적인 코드 중 하나인 로드 트립을 작품의 출발점으로 삼아 미국 국가 정체성의 근간인 강인한 개인주의의 지속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작가는 일련의 기계 미니어처, 연극적 풍경, 풍자적인 소품과 같은 데님 작품을 통해 향수의 위험성과 소비주의와의 진화하는 관계를 조명한다. 자판기, 타자기, 담뱃갑과 같은 도일의 이미지와 인디고(청), 면화 같은 소재는 미국의 식민주의와 소비주의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미디어가 글로벌 무역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한다. 도일은 문화적 의미를 지닌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현대 생활과 시각 문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사회적, 정치적 의제를 성찰하고 비판하고 있다.


Bernard Frize, a leading figure in French contemporary painting, was born in Saint-Mandé, France in 1949 and now works based in Berlin, Germany.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Frize expanded his practice of conceptual abstraction throughout half a century. In Frize’s paintings, ‘abstraction’ is not presented in a difficult or heavy language but as a frame filled with sensational colors and energetic brushstrokes. Above his brushstrokes, paint spreads out with a mind of its own, disrupting structured lines and the remains of ambiguous masses and traces of the paint suggest all our senses: sight, sound, and touch. Breaking free of the traditional stereotype of abstract painting as esoteric, Frize’s paintings draw a new interaction from the viewers through his original expressive touches and reflect his complex and ever-evolving relations between him as an artist and his life, the act and materiality of painting.



프랑스 현대 회화를 대표하는 작가 베르나르 프리츠는 1949년 프랑스 생망데에서 태어났으며, 독일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반세기에 이르는 화업을 통해 작가는 독창적인 개념적 추상회화를 전개해 왔다. 프리츠의 회화에서 ‘추상’은 어렵고 무거운 관념적 언어가 아닌, 눈부신 색채와 역동적인 붓질로 가득 찬 화면으로 제시된다. 작가의 붓질 위로 물감은 제멋대로 번져나가며 체계적으로 그어진 획을 망가뜨리고, 무정형의 모호한 물감 덩어리와 흔적은 시각, 청각, 촉각을 아우르는 우리의 모든 감각을 암시한다. 기존의 난해한 추상회화에 대한 고정 관념을 탈피하고, 자신만의 표현 방법을 통해 작품과 관객 간의 새로운 교감을 이끌어내는 프리츠의 회화는 화가로서 자신의 삶, 작품의 물성, 그리는 행위와 같이 복합적이며 끊임없이 진화하는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


Born in 1972, Laurent Grasso is a multi-media artist, lives and works between Paris and New York.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heterogeneous temporalities, geographies, and realities, Laurent Grasso’s films, sculptures, paintings, and photographs immerse the viewer in an uncanny world of uncertainty. The artist creates mysterious atmospheres that challenge the boundaries of what we perceive and know. Anachronism and hybridity play an active role in his strategy, which entails diffracting reality in order to recompose it according to his own rules. Fascinated by the way in which various powers can affect human conscience, Grasso seeks to grasp, reveal, and materialize the invisible, from collective fears to politics to electromagnetic or paranormal phenomena. His work reveals what lies behind common perception and offers us a new perspective on history and reality.



1972년에 태어난 로랑 그라소는 파리와 뉴욕을 오가며 활동하는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이다. 그의 작품은 이질적인 시간성과 지형, 현실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영상, 조각, 회화, 사진 등을 매체로 관객을 불확실성의 기묘한 세계로 불러들인다. 작가는 우리가 인식하는 것과 인지하는 것의 경계를 계속해서 실험하고, 그를 통해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그라소의 작품은 어느 한 시대에 속한 것이 아닌, 굴절된 현실의 재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무수한 힘들이 인간의 의식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 매료된 작가는 집단적 공포에서 정치, 전자기 또는 초자연 현상에 이르기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파악하고 드러내며 구체화하고자 한다. 그의 작품은 일반적인 인식 뒤에 무엇이 숨어 있는지 드러내고, 역사와 현실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Born in 1985 in Bonn, Germany, Vivian Greven is an artist based in Dusseldorf, graduating from Kunstakademie Düsseldorf in 2015. Vivian Greven’s paintings are an explor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rom romantic and familial kinship to classical mythologies, the artist transcends traditional depictions of intimacy by capturing the vulnerability of metamorphosis.


Her vocabulary borrows from recognizable forms of Greco-Roman sculpture and aesthetic perfection of digital media to interrogate evolving representations of the body through time. In her atemporal spaces, fragmented body parts exist just out of reach: limbs extend out to one another, while lips linger on the canvas. Oscillating between figuration and abstraction, Greven's smooth figures are often punctuated by uneven framing, erupting color fields, or what appear to be technological glitches, which highlight existing tension between her figures. Greven’s paintings become microcosms where digital-age detachment is overcome by the innate human desire for connection.



1985년 독일 출생의 비비안 그레벤은 쿤스트아카데미 뒤셀도르프를 졸업 후, 뒤셀도르프를 기반으로 작업하고 있다. 그레벤의 회화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탐구라고 할 수 있다. 낭만적이고 가족적인 혈연 관계에서 고전 신화를 아우르는 폭 넓은 레퍼런스를 통해 작가는 변형의 취약성을 포착함으로써, 친밀감에 대한 전통적 묘사를 초월한다.


작가는 고대 그리스-로마 조각의 형태와 디지털 이미지의 완성도를 각각 차용해, 시간에 따라 진화하는 인간 신체의 표현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레벤의 회화에서 파편화되어 표현된 신체 부위는 인지불가능한 상상의 영역에 존재한다.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오가는 그레벤의 작품 속의 부드럽고 따뜻한 인물은 마치 기술적 결함으로 잘못 표현된 디지털 이미지처럼 의도적으로 표현되어 인물 사이 존재하는 긴장감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처럼 아날로그와 디지털, 전통과 현대, 구상과 추상 사이를 오가는 그레벤의 작품은 디지털 시대의 필연적인 인간 사이의 단절을 연결에 대한 우리의 원초적인 욕망을 드러내며,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염원을 보여주고 있다.


Born in Leipzig, German, Hans Hartung (1904-1989) achieved international recognition as a seminal figure of art informel, a movement that emerged in France during World War II. Beyond the apparent spontaneity of his distinctively bold and almost calligraphic gestural abstraction, rationalism equally informed his style, which arose out of an early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mathematics—particularly the harmony of the golden ratio. Believing strongly in the freedom of thought and action, Hartung forged a unique blend of abstraction and gestural painting, producing works characterized by thick lines and smudges reminiscent of calligraphy. His breakthrough came when he was award- ed the Grand Prize for painting at the 1960 Venice Biennale, marking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his artistic journey. Hartung began to improvise on canvas and experimented with new methods, including fast-drying acrylic colors, and scraping and sprinkling techniques. The quest for balance between spontaneity and perfection remained at the core of Hartung’s painterly aesthetics until his passing.



독일 라이프치히 출생의 한스 아르퉁(1904-1989)은 프랑스의 대표적 추상 화가로, 제2차 세계대전 중 프랑스에서 일어난 앵포르멜 운동의 주요 인물이기도 하다. 작가의 대담하고 서예적인 추상화의 즉흥성 외에도, 미학과 수학의 관계, 특히 황금 비율의 조화에 대한 그의 초기 관심에서 비롯된 합리주의는 작가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사람들이 각자 자신의 생각과 행동, 외부의 구속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믿은 그는 추상화와 제스처 회화를 독창적으로 발전시키며, 마치 서체를 연상시키는 두터운 선과 얼룩들로 가득 찬 작품을 제작했다.


1960년 베니스비엔날레 대상 수상은 그의 작업 방식에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캔버스에 즉흥적으로 그리기 시작했으며, 빠르게 건조되는 아크릴 물감과 긁어내고 뿌리는 기법 등 새로운 방식을 실험했다. 그의 즉흥성과 완벽함 간의 균형에 대한 추구는 작가가 1989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아르퉁 미학의 핵심으로 남았다.


Born in Berlin, Germany in 1969, Thilo Heinzmann studied at the Städelschule in Frankfurt. Heinzmann is a painter in the emphatic sense of the word, fully invested in reinventing and recalibrating the capacities of the medium, while keeping a keen eye on that painting’s rich history. Using chipboard, styrofoam, nail polish, resin, pigment, fur, cotton wool, porcelain, aluminum, and hessian, Heinzmann has worked on developing new paths and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in his practice. His interest lies in the presence that each work creates, which is further enhanced by his paintings’ powerful tactile qualities. It invites the viewer to notions on the fundamental and essential elements of painting: composition, surface, form, color, light, texture, and time.



1969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난 틸로 하인츠만은 프랑크푸르트의 슈테델슐레 순수미술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하인츠만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화가로 정의한다. 그에게 화가란 회화의 물성을 재발견하고 재조정하는데 천착하며, 회화가 지닌 풍부한 유산에 대한 자각을 잃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하인츠만은 합판, 스티로폼, 매니큐어, 레진, 양피지, 가죽, 안료, 모피, 면직물, 자기, 알루미늄, 마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그의 작업에서 새로운 방법론과 독특한 시각 언어를 고안하고자 했다. 그는 각 작품이 만들어내는 존재감에 관심이 있으며, 이는 그의 작품이 갖고 있는 촉각적 특성에 의해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이것은 관객으로 하여금 구성, 표면, 형태, 색상, 빛, 질감과 시간 같은 회화의 기초적이며 필수적인 요소에 대한 개념을 다시 한번 상기하게 만든다.


Born in 1974 in Bad Homburg and based in Berlin, Germany, Gregor Hildebrandt’s signature media are cassette tape and vinyl, which he collages and assembles into apparently minimalist yet latently roman- tic paintings,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Resting in silence behind the glossy surface of his analog aesthetics, which verges on black and white monochrome, music and cinema haunt his practice. Whether pictorial or sculptural, all of his works contain prerecorded materials, which he references in the titles. These pop-cultural sources, usually a single song, are meant to trigger both collective and personal memories.


Like analog storage media, his distinctive rip-off technique is a metaphor for the mnestic process itself: it consists in rubbing magnetic coating against double-sided adhesive tape stuck on canvas to trace intricate and elusive powdery patterns. Further relating to architectural Gesamtkunstwerk, Hildebrandt’s monumental sonic barriers made of stacked, bowl-shaped records and his sensual wall curtains made of unreeled tapes create paths for the visitors of his shows.



1974년 독일 바트 홈부르크에서 출생하여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그레고어 힐데브란트는 카세트테이프와 바이닐을 주재료로 삼아, 이들을 콜라주하거나 조립하여 미니멀하면서도 낭만성을 지닌 회화, 조각, 설치 작업을 선보여왔다. 작가가 사용하는 아날로그 저장 매체의 광택 있는 표면 너머에는 그의 작업을 관통하는 핵심인 음악과 영화가 숨어있다. 그의 회화와 조각 작품 제목은 음악이나 영화와의 연관성을 암시하는데, 이러한 대중 문화 매체의 사용은 우리의 집단적 기억과 개인적 기억을 모두 불러일으킨다.


작가의 시그니처로 자리 잡은 ‘떼어내기’ 기법은 캔버스에 붙인 양면 접착테이프에 자성 코팅을 문질러 복잡하고 찾기 어려운 가루 패턴을 추적하는 것으로, 기억의 과정을 은유한다. 건축적인 종합 예술 작품을 연상시키는 그레고어의 바이닐 조각 작품과 거대한 음향 장벽, 풀린 카세트테이프로 만든 커튼과 같은 설치 작품들은 감상자를 위한 길이 되며, 이를 통해 관람객은 그레고어의 작품 세계에 담긴 과거와 기억의 아름다움을 포착하게 된다.


Kara Joslyn, born in 1983 and based in Los Angeles, explores themes of storytelling and illusion through her multi-dimensional paintings. The artist’s moonlit spaces merge fantasy and reality, creating allegories of her own that are at once unsettling and inviting. Using 1950s instructional craft books and mythology as source material, she relocates domestic and decorative figures into timeless, and uncanny scenes. As appropriator, forager, and translator, Joslyn engages the viewer’s eye as trickster. Interested in illusion, she uses a mixture of powdered optical automotive paint pigments that appear holographic. Her airbrush technique — historically used in graphic design before the invention of computers — heightens the atmosphere by creating a digital-like image, combined with Caravaggio inspired lighting. Altogether, the artist's tableaux allow us to travel back and forth in time, intertwining historical symbolism with futuristic dimensionality, as well as our own unconscious. As Joslyn says, “If photography is the false index — the truth that tells a lie, I like to think of painting as the trick — the lie that tells the truth."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카라 조슬린(b.1983)은 스토리텔링과 환영을 주제로 입체적 회화를 그린다. 작품 속 달빛이 깃든 공간은 환상 및 현실과 결합하며 불안정하면서도 매력적인 작가만의 알레고리를 형성한다. 1950년대 공예 교본과 신화를 작업의 소재로 삼으며 가내 장식적 요소들을 시간을 초월한 독특한 형상으로 재배치해 보는 이들의 시각을 교란시킨다. 분말형 차량용 페인트 안료를 혼합하여 표현해 내는 홀로그램 효과는 작가의 환영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다. 또한 이탈리아 화가 카라바조의 빛에 영감을 받은 작가는 과거 컴퓨터가 발명되기 이전 그래픽 디자인에 사용되었던 에어브러시를 작업에 활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 모든 것들이 합해져 작가의 작업은 역사적 상징성과 미래의 저변, 그리고 우리의 무의식을 엮어 시간을 넘나드는 여행을 선사한다. 작가는 “만약 사진이 거짓의 지표, 즉 거짓을 말하는 진실이라면, 나는 회화를 눈속임, 즉 진실을 말하는 거짓이라 생각하고 싶다” 라 말한다.


Susumu Kamijo, born in 1975 in Nagano, Japan, is currently based in Brooklyn, New York. He holds a BFA from the University of Oregon and an MFA in Painting and Drawing from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Kamijo is best known for his “Poodle” paintings, a series he began in 2014. What began as a chance sketch of a poodle quickly evolved into a distinctive artistic exploration of the animal’s forms, colors, and shapes.


His paintings, broadly influenced by Abstract Expressionism and German Expressionism, exhibit stylistic traces of Willem de Kooning, Philip Guston, and Francis Bacon— all artists he admires. Kamijo’s work, like theirs, is dynamic and encourages viewers to contemplate the emotional resonance of the poodle figure. For the artist, the painting is less about the actual animal and more about its visual representation. He emphasizes the poodle's face, the painting’s landscape, and overall composition, encouraging viewers to engage with the artwork through its individual components—such as the dots, shapes, and color changes—rather than the literal image of the poodle. By combining drawing and painting techniques with rough brushstrokes and subtle colors, Kamijo creates a rich tapestry of iconography and symbolism that stimulates thought and interpretation from the audience.



스스무 카미조는 1975년 일본 나가노에서 출생했으며, 오리건 대학교 학부와 워싱턴 대학교 회화 석사 과정을 졸업한 뒤, 현재 뉴욕 브루클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카미조는 2014년부터 시작된 ‘푸들’ 회화로 잘 알려져있다. 그는 우연한 기회로 푸들을 스케치하던 중 이 대상의 형태와 모양, 색깔에 애정을 갖기 시작한다. 이에 천착하여 발전한 그의 회화는 푸들의 다채롭고 선명한 색감과 둥글고 복슬복슬한 형태, 간결하게 표현된 공간을 통해 대상을 독창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한다.


추상표현주의와 독일 표현주의의 폭넓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그의 회화에서는 그가 존경하는 작가 윌렘 드 쿠닝, 필립 거스턴, 프란시스 베이컨의 필치를 엿볼 수 있다. 그들의 작품과 마찬가지로 카미조의 작품은 역동성의 흔적을 담아내며, 푸들의 형상을 말미암아 관객이 무엇을 환기할지 생각하게 한다. 카미조에게 푸들은 ‘개’로서의 존재나 속성과는 무관하다. 대신 작가는 푸들의 얼굴, 그림의 풍경, 그리고 회화의 구성 그 자체에 주목한다. 따라서 관객은 푸들의 이미지가 아닌, 각각의 점, 모양, 색의 변화와 같은 회화의 요소를 통해 작품을 감상하게 된다. 드로잉과 페인팅 기법을 결합하고, 미묘한 색상의 거친 붓질로 도상과 기호의 집합체를 이루는 카미조의 작업은 우리의 일반적인 사고와 해석을 자극한다.


Born in 1986 in Seoul and based in London, Hun Kyu Kim is known for his allegorical, sentient works that layer complex histories, social issues, and pop culture to create his own fantastical, highly intricate worlds. Laced with humor and satire, Kim’s detailed depictions of corruption, folly, and the perils of indulgence reveal a critical view of contemporary society. The surreal elements in his paintings—despite their innocent, illustrative quality—often serve to amplify these critiques, creating a striking contrast between the familiar and the grotesque.


Kim, drawing on his extensive background in art restoration and silk painting, and shaped by his South Korean heritage, has forged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His art is characterized by the meticulous inking of fine, delicate lines onto silk, a practice rooted in Korean Buddhist traditions and the Goryeo dynasty (918-1392 AD). By reimagining these ancient methods within a contemporary framework, Kim’s work transcends conventional boundaries, transforming his densely populated creations into enigmatic portals that challenge rational interpretation and encourage contemplation.


Into the Red is part of the 'Red' series, a new series of color paintings that the artist began showing in early 2024. This body of work began with the artist questioning the dynamism of color and how it collides, mixes, and ultimately harmonizes in his work. The artist uses the movement and energy generated from these color interactions to visually represent the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different religions, ideologies, and social classes. In addition, the elements depicted are drawn from everyday spaces and materials commonly found around us in our contemporary world. In this piece, which will be exhibited for the first time at Frieze Seoul's Perrotin booth, the Han River Park and peddle boats are central motifs, reflecting the city where the work is presented. However, it is not the narrative of these depicted scenes that is most significant in Kim’s work. Instead, it is the exploration of space, the examination of the individual wills and conflicts of the characters, and the resulting anxiety, chaos and energy that truly erupts from within his paintings.



1986년 서울 출생의 김훈규는 서울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 후 영국 RCA에서 석사 학위를 수여한 뒤 런던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가는 복잡한 역사, 사회 문제, 대중문화를 층층이 쌓아, 회화를 통해 자신만의 환상적이고 복잡한 세계를 창조하는 우화적이고 감각적인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머와 풍자로 가득한 그의 작품에서는 부패와 어리석음, 방종의 위험에 대한 세밀한 묘사가 돋보이며, 이는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그의 그림에 등장하는 초현실적인 요소들은 순수하고 만화적임에도, 이러한 비판적 시각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며, 익숙함과 기괴함 사이의 놀라운 대비를 만들어낸다.


김훈규는 미술품 복원과 비단 채색화에 대한 폭넓은 배경과 한국적 유산을 바탕으로 독특한 시각적 언어를 구축해냈다. 한국의 불교적 전통과 고려 시대(서기 918~1392년) 불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그의 작품은 방법론적으로 실제 불화 제작 방식을 차용하여, 비단 위에 섬세하고 정교한 수묵화를 그리는 것이 특징이다. 작가는 현대적 틀 안에서 전통 기법을 재해석해 과거와 현대의 경계를 뛰어넘으며, 자신의 작품을 이성적 해석에 도전하고 사색을 유도하는 수수께끼의 장으로 변모시킨다.


<Into the Red>는 작가가 2024년 초부터 새롭게 선보이기 시작한 컬러 페인팅 연작 중 ‘레드’ 시리즈에 속한다. 컬러 페인팅 시리즈는 색과 색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부딪히고 섞이며, 궁극적으로 조화를 이루는지에 대한 작가의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색과 색이 충돌하며 발생하는 움직임과 에너지는 종교와 이념, 계층 간의 갈등과 화해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작가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요소는 일상적인 공간과 우리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소재를 차용했다. 프리즈 서울 페로탕 부스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이번 작품은 작품이 전시되는 도시에 맞추어 한강공원과 오리배가 중심적인 모티프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묘사된 상황 속의 내러티브가 아닌, 작품 속 공간과 캐릭터들의 개별적인 의지와 충돌, 그 곳에서 파생되는 혼돈과 불안, 분출하는 에너지 그 자체이다.

Born in Toronto, Canada, in 1969, Jason Boyd Kinsella graduated from Bishop's University in Quebec, Canada, and now works and resides between Oslo, Norway, and Los Angeles, California. With their smooth surfaces and clean finishes, Kinsella's portraits evoke past artistic movements such as classical painting, cubism, and surrealism. However, his creative process follows a thoroughly 21st-century methodology. The artist begins with sketches, fine-tunes the colors using 3D software, and then paints his subjects in oil on canvas. The results are reminiscent of classic Old Master paintings, but unlike traditional Western portraits, which aimed to recreate outward appearances, Kinsella has devised his own "psychological portraits." His work is both intriguing and unfamiliar, visually reconstructing and rearranging the multifaceted psychology of the human mind.



1969년 캐나다 토론토 출생의 제이슨 보이드 킨셀라는 캐나다 퀘벡주의 비숍스 대학교를 졸업 후, 노르웨이 오슬로와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오가며 본격적인 작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킨셀라의 초상화는 매끄러운 표면과 깔끔한 마감으로 고전 회화나 큐비즘, 초현실주의 등 과거의 미술사조를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그의 창작 과정은 철저히 21세기의 방법론을 따른다. 작가는 스케치를 한 뒤, 3D 소프트웨어를 통해 색채를 정교하게 조정하고, 캔버스에 유화로 대상을 그려낸다. 그 결과물은 올드 마스터의 클래식한 회화 연상시키지만, 킨셀라는 외양만을 재연하고자 했던 서양 역사 속 초상화와는 달리, 인간의 다면적 심리를 시각적으로 재구성하고 재배치하여 흥미로우면서도 낯선 자신만의 ‘심리적 인물화’를 고안했다.


Koak, born in 1981 in Lansing, Michigan, and based in San Francisco, is a multimedia artist who uses her work to explore complex themes such as sexuality, identity, and female autonomy. Drawing from her personal background and her interest in comics, Koak’s art often delves into painful experiences and moments of tension, all infused with a sense of comedy. Her paintings, drawings, and sculptures resonate with raw, unbridled emotion, vividly portraying female figures in fluctuating states of feeling and vulnerability. With their fluid lines and curves, the characters in Koak’s works engage the audience through an authentic and thought-provoking perspective on the human experience. Through her art, Koak aims to create a visual language that empowers women and, in doing so, seeks to reclaim the agency that the world has often taken from them.



1981년 미시간주 랜싱에서 태어나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코악은 섹슈얼리티, 정체성, 여성의 자율성과 같은 주제를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전개하는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이다. 작가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와 만화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코악의 작품은 고통스러운 경험과 긴장의 순간을 담아내는 동시에, 코미디적 감각을 담아낸다. 코악의 회화, 드로잉, 조각은 날 것 그대로의 감정을 담아내며, 감정과 연약함의 기복으로 흔들리는 여성 인물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유동적인 선과 곡선으로 표현된 코악의 작품 속 인물들은 우리의 경험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자극하며, 이를 통해 관객의 참여를 유도한다. 코악은 작품을 통해 여성과 연대하는 시각적 언어를 창조하고, 궁극적으로 여성의 주체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자 한다.


Emi Kuraya, born in 1995,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refreshing new voices in the contemporary Japanese art panorama. A graduate of Tokyo’s Tama Art University, in spite of her young age Kuraya has already had a few high-profile solo shows, in Japan and at Perrotin Seoul and Perrotin Shanghai, and has been exhibited at Art Basel in Basel, Hong Kong and also at Frieze New York, receiving wide acclaim for the freshness, and the deep layers of meaning that make her work so captivating. Since 2018, Kuraya has been a member of Kaikai Kiki, the art society founded by Takashi Murakami.



1995년에 출생의 쿠라야 에미는 현대 일본 미술계에서 가장 흥미롭고 신선한 새로운 목소리 중 하나이다. 도쿄 타마미술대학을 졸업한 쿠라야는 비교적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이미 일본 현지와 페로탕 상하이, 서울 등에서 몇 차례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스위스와 홍콩 아트바젤, 프리즈 뉴욕 등 주요한 아트페어에도 작품을 선보이며, 작가 특유의 신선한 스타일과 그에 내재된 깊은 메시지로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쿠라야는 2018년부터 무라카미 다카시가 설립한 아트 소사이어티 카이카이 키키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Georges Mathieu(1921-2012) played a decisive role within abstraction during the movement’s burgeoning in the late 1940s and early 1950s. He departed from the geometrical abstractions that had dominated the previous era with a visual language that favored form over content and gesture over intent, and instead aimed for uninhibited creative expression. He termed this newfound aesthetic “lyrical abstraction,” after a description of his work by the French critic Jean José Marchand in 1947. Mathieu’s works are characterized by a calligraphic quality of line, which he achieved by using long brushes and applying paint directly from tubes onto the canvas. The immediacy and rapid execution of these distinct methods guaranteed the freedom with which he defined his work. According to Clement Greenberg, Mathieu was the most powerful among his contemporary European painters.


Mathieu’s work has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retrospectives, and is in more than eighty museums and public permanent collections, including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Centre Pompidou, Paris; the 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Washington, DC; Kunstmuseum Basel; Kunsthaus Zürich;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Los Angeles; 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the Musée National d’Art Moderne, Paris;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and the Tate, London.



조르주 마티유(1921-2012)는 1940년대 말에서 1950년대 초, 유럽과 미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추상미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이전 시대의 주류이던 기하학적 추상화에서 벗어나, 내용보다 형식을, 의도보다 제스처를 선호하는 ‘서정적 추상’을 옹호하며, 독창적인 회화 언어를 통해 자유롭고 창의적인 표현을 지향했다. ‘서정적 추상’은 1947년 프랑스 비평가 장 호세 마르샹이 마티유의 작품을 설명하면서 그의 새로운 미학을 지칭한 용어로, ‘뜨거운 추상’, ‘비정형 추상’, ‘타시즘’, ‘앵포르멜’이라 불리기도 한다. 물감 튜브를 캔버스에 직접 짜내고, 긴 붓을 이용해 그려진 서예적인 선의 질감이 마티유 작품의 주된 특징이다. 이렇듯 즉각적이고 신속한 작품 제작 방식은 그가 자신의 작품을 정의하는 핵심인 ‘자유로움’을 보장한다. 미국의 평론가인 클레멘트 그린버그에 따르면, 마티유는 동시대 유럽 화가들 중 가장 뛰어난 작가였다.


마티유의 작품은 수많은 회고전의 대상이 되어왔다. 시카고 미술관, 파리 퐁피두 센터, 워싱턴 DC 허시혼 박물관과 조각 공원, 바젤 시립 미술관, 취리히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 휴스턴 미술관, 뉴욕 현대 미술관, 파리 국립현대미술관,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런던 테이트 등 세계 유수의 80 개 이상 박물관 및 공공 기관에 영구적으로 소장되어 있다.


Barry McGee, born in 1966 and based in San Francisco, is an American mixed-media artist. Earning his BFA in painting and printmaking from the San Francisco Art Institute, McGee was associated with the Mission School, a 1990s-early 2000s movement of artists engaging with socio-political issues in San Francisco’s Mission District. Beginning his career as a graffiti artist under the moniker ‘Twist’ at age 18, McGee utilizes the language of graffiti to effectively connect with his urban environment and express his activism and public storytelling, often bypassing traditional art systems in the process. His works frequently provide candid and incisive critiques on the detrimental impacts of consumer culture and commercialism in 21st century America.


McGee’s diverse experiences have significantly shaped his identity as a mixed-media artist today. Creating his own unique visual language, full of geometric patterns, recurring caricatures, and other found materials (like scrap metal and glass bottles) all contribute to his distinctive visual narrative throughout his works. Drawing inspiration from many aspects of pop culture, including American comics, Mexican murals, and folk art, these influences weave their way through McGee’s body of paintings, drawings, murals, and sculptures. Although the artist himself views his graffiti and gallery work as separate entities, both share stylistic and thematic connections that reflect his broader aim of inviting audiences to engage with his creative world and critically reflect on contemporary issues.



1966년 샌프란시스코 출생의 배리 맥기는 미국 기반의 믹스미디어 아티스트이다.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에서 회화와 판화를 전공한 맥기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샌프란시스코 미션 디스트릭트의 사회 정치적 이슈에 참여하는 예술가들의 운동인 미션 스쿨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18세에 '트위스트'라는 예명으로 그래피티 아티스트로 경력을 쌓기 시작한 작가는 그래피티 언어를 활용하여 도시 환경을 예술과 연결하고 자신의 행동주의와 대중적 스토리텔링을 표현하며, 그 과정에서 종종 전통적인 예술 시스템을 우회했다. 맥기의 작품은 21세기 미국의 소비자 문화와 상업주의의 해로운 영향에 대한 솔직하고 예리한 비판을 드러낸다.


맥기의 다양한 경험은 오늘날 작가로서 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작가는 기하학적 패턴, 반복되는 캐리커처, 고철과 유리병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료로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적 언어를 창조하여 작품 전반에 걸쳐 독특한 시각적 내러티브를 만들어냈다. 미국 만화, 멕시코 벽화, 민속 예술 등 대중문화의 다양한 레퍼런스를 통한 영향은 맥기의 회화, 드로잉, 벽화, 조각 작품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작가 자신은 그래피티와 작품을 별개로 간주하지만, 그의 작업은 모두 관객의 참여를 통해 동시대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도록 만드는 주제적인 연관성을 공유하고 있다.


Jin Meyerson, born in 1972 in Seoul, South Korea, is a contemporary artist recognized for his dynamic and emotionally charged paintings that explore themes of transformation, identity, and displacement within the human experience. Drawing from his personal history as a Korean adoptee in the U.S., and his eventual return to his homeland as an adult, his sense of self has informed his work for over three decades. Considered a pioneer of using computer graphics and randomization software to create large, immersive paintings, his work is noted for its vibrant, abstract compositions that blend elements of surrealism and expressionism to reflect the fluid nature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e impact of personal and collective experiences on identity.


Meyerson’s artistic technique involves an interplay of bold color palettes, gestural brushwork, and layered textures, often incorporating throwaway images from magazines. His paintings frequently mix abstract forms and dynamic lines to create a sense of movement and depth. This approach allows Meyerson to convey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urbulence inherent in the human condition. By employing a visual language that combines both chaotic and harmonious elements, Meyerson aims to evoke a visceral response from viewers, prompting them to engage with the internal conflicts and transformations depicted in his work. His intention is to challenge perceptions and provoke introspection, encouraging audiences to explore their own personal narratives and the broader existential questions posed by his art.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난 진 마이어슨은 인간 경험의 변화, 정체성, 변위라는 주제를 탐구하는 역동적인 작품을 선보이는 작가이다. 미국에서 한국인 입양아로 자라, 성인이 되어 고국으로 돌아온 개인사를 바탕으로 30년 넘게 작품 활동을 이어온 경험은 자아에 대한 그의 감각과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컴퓨터 그래픽과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몰입감 넘치는 대형 회화를 제작하는 독창적 방식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그의 작품은 초현실주의와 표현주의의 요소를 혼합한 생동감있고 추상적인 구성이 돋보인다.


마이어슨은 대담한 색상 팔레트와 제스처적인 브러쉬의 사용, 잡지에서 버려지는 이미지 등을 사용한 레이어링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해 작품을 제작한다. 그의 그림은 추상적인 형태와 역동적인 선을 혼합하여 움직임과 깊이감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마이어슨은 인간 조건에 내재된 심리적, 정서적 격동을 전달한다. 작가는 혼란스러운 요소와 조화로운 요소를 결합한 시각적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관람자의 본능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켜 작품에 묘사된 내적 갈등과 변화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그는 인식에 도전하고 성찰을 불러일으켜 관객이 자신의 개인적인 이야기와 예술이 제기하는 더 광범위한 실존적 질문을 탐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Born in 1969 in Cupa, Japan, Mr. is a protégé of Takashi Murakami, a leading figure in the “superflat” movement known for elevating subcultures like manga and anime to high art status, and translating Japan's unique aesthetic into a global artistic language.


Mr.’s manga-style characters reflect both his own otaku tendencies and the psychological traumas stemming from adversities such as natural disasters, war, and social unrest. Behind the seemingly innocent facade of his characters lies a complex psychological landscape, shaped by the fears and anxieties that intensified in Japan after World War II. This interplay between form and subject matter creates visually striking and thought-provoking scenes, compelling viewers to explore the tension between the surface appearance and deeper meaning within the works.



1969년 일본 쿠파 출생의 미스터는 ‘슈퍼플랫’의 핵심적 인물인 무라카미 다카시의 제자로, 슈퍼플랫 운동과 연관하여 만화와 애니메이션 같은 하위 예술을 고급 예술의 형식으로 승격시켜 일본 고유의 미학을 세계적 예술 언어로 해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스터 작품의 만화풍 캐릭터들의 탄생은 작가 자신의 오타쿠적 성향에 대한 인지와 함께 자연재해, 전쟁, 사회적 불안 등의 역경으로 비롯된 심리적 트라우마에 근거한다. 그의 작품 속 천진난만한 캐릭터들이 보여주는 이면에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증한 이러한 심리적 두려움을 포함한 복합적 심리상태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미스터의 작품 형식과 주제의 충돌은 시각적으로 생생하고 매력적인 장면을 만들어내며, 관객으로 하여금 그 간극에 대해 숙고하게 한다.


Takashi Murakami, one of Japan's leading contemporary and pop artists, was born in Tokyo in 1962. He studied traditional Japanese painting at the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where he later earned a PhD. Murakami’s work spans both fine and popular art, effectivel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Much of his work explores the concept of “superflat,” a term he coined to describe the blending of otaku culture—a significant element of Japanese popular culture—with high art. Murakami creates recurring motifs and characters by drawing from a diverse range of influences, including traditional Japanese painting, science fiction, anime, and commercial art, and employs them in paintings, sculptures, installations, and video works. His art integrates a wide array of cultural codes and genres, situated at the intersection of popular culture, fine art, and history.


In 2000, Murakami curated the group exhibition Superflat at Parco Gallery in Tokyo and Nagoya, which was later presented at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MOCA) in Los Angeles in 2001. In this exhibition, he introduced the theory of “superflat,” which refers to the "flatness" of Japanese art history and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flattening” of social classes and popular tastes. By blurring the distinctions between high and low art, Murakami explore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a postwar Japanese society and art, anime, traditional Japanese painting, and Western culture. In 2002, he began collaborating with fashion brands Marc Jacobs and Louis Vuitton, incorporating their logos into his art. Continuously researching evolving trends, styles, and themes, Murakami pushes the boundaries of art through organizing art fairs for emerging artists, curating exhibitions, and producing films based on his various characters.



일본을 대표하는 현대미술가이자 팝아티스트인 무라카미 다카시는 1962년 일본 도쿄에서 출생, 도쿄 예술대학에서 일본화를 전공했으며, 이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다카시는 순수 미술과 대중 예술을 모두 아우르며, 그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슈퍼플랫’ 개념을 생산하고, 이를 통해 일본 대중 문화의 대표적 양상인 오타쿠 문화를 고급 미술에 편입, 결합한 인물이다. 그는 일본의 전통 회화와 공상 과학, 애니메이션, 상업 미술 등 다양한 레퍼런스를 통해 반복되는 모티프와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 회화와 조각, 설치, 영상 작품을 제작한다. 광범위한 문화적 코드와 장르를 아우르는 그의 작품은 대중문화, 순수미술, 역사가 만나는 교차점에 자리잡고 있다.


2000년, 다카시는 도쿄 파르코 미술관과 나고야 파르코 갤러리에서 단체전 《슈퍼플랫》을 기획하고, 이듬해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MOCA)에서 해당 전시를 다시 선보였다. 전시를 통해 다카시는 일본 미술사의 ‘플랫함’과 사회 계급과 대중의 기호가 ‘납작’해지고, 고급과 저급의 차이가 모호해지는 문화적 양상을 담은 ‘슈퍼플랫’ 이론을 제시하며, 전후 일본 사회와 예술, 애니메이션과 일본화, 서구 문화 간 상호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2002년부터 다카시는 패션 브랜드 마크 제이콥스와 루이비통과의 협업을 시작하며, 자신의 작품에 패션 브랜드의 로고를 도입하는 등 과감한 시도를 이어갔다. 변화하는 시대성과 트렌드, 스타일과 주제를 끊임없이 연구하는 작가는 이러한 협업 활동 뿐 아니라, 신진 작가를 위한 아트페어를 주최하거나 전시를 기획하고 자신의 다양한 캐릭터를 소재로 영화를 제작하는 등 예술의 무한한 가능성을 모색하며 여전히 그 경계를 실험하고 있다.


Tomoko Nagai is a painter born in 1982, based in Japan. In Tomoko Nagai’s artworks, various animals, children, colorful trees and mushrooms are depicted in a theatrical arrangement against the backdrop of forests and domestic rooms. Loaded with a multitude of motifs, each of Nagai’s paintings embraces a unique sense of spatiality, wherein a dynamism that encapsulates the worlds of fictional narratives intricately overlaps with layers of images. The colorful matière and brushstrokes form a fantastical rhythm as the artist exercises an expression akin to composing a musical piece. The viewer perceives this melody while standing face-to-face with each painting. This evokes a sense of being inside the painting, as the viewer’s own memories and experiences – nostalgic sensations, recollections and dreams from childhood – connect with the worldview represented in each artwork.



나가이 토모코는 1982년 일본 출생의 작가이다. 나가이 토모코의 작품에는 숲과 가정집을 배경으로 다양한 동물, 어린이, 화려한 나무와 버섯이 연극적인 배치로 그려져 있다. 다양한 모티프로 가득 찬 나가이의 작품은 각각 독특한 공간감을 담고 있으며, 허구적 서사의 세계를 담아내는 역동성이 여러 겹의 이미지와 복잡하게 중첩되어 있다. 나가이 작품 속 다채로운 색채와 붓터치는 환상적인 리듬을 형성하며 마치 음악 작품을 작곡하는 것과 같은 표현력을 구현하고,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은 각 그림과 마주보며 이러한 멜로디를 인지하게 된다. 과거의 향수가 깃든 감각, 회상, 꿈 등 관객 자신의 개인적인 기억과 경험이 각 작품에 표현된 세계관과 연결되는 것이다.


Born in 1992, ob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ists who emerged as part of Japan’s SNS generation in 2010. As a university student in Kyoto, she organized and curated several local exhibitions after reaching out to other artists of her age through the illustration communication service pixiv. This culminated in the exhibition “wassyoi” in 2010 for which she received much attention and acclaim. The name “wassyoi” itself stems from the chant used by revelers in Japanese street festivals. As part of the new generation of artists who grew up in an environment where video games and social media have always been part of daily life, ob explores the dreamy filter of the feminine psyche through the recurring motif of a wide-eyed young girl in her delicate, atmospheric paintings. ob collaborated with renowned cosmetics line shu uemura in 2013 and has been featured numerous times in art fairs overseas.



1992년에 태어난 오비는 2010년 일본 SNS 세대와 함께 부상한 여러 작가 중 가장 중요한 인물로 손꼽힌다. 당시 교토의 대학에 재학 중이던 작가는 일러스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인 ‘픽시브(pixiv)’를 통해 또래의 작가들과 교류를 시작했고, 이를 통해 몇 차례 전시를 기획, 실행했다. 작가의 이러한 활동은 평단의 많은 주목과 찬사를 받은 전시《와쇼이(wassyoi)》에서 정점에 다다른다. 전시의 제목은 일본에서 길거리 행사가 열리면 흥에 겨운 취객들이 외치는 감탄사에서 비롯되었다. 비디오 게임과 소셜 미디어를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환경에서 성장한 젊은 세대의 작가인 오비는 섬세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띤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작품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큰눈의 소녀는 여성적이며 몽환적 세계를 상징한다.


Danielle Orchard, born in 1985 in Michigan City, Indiana, and based in Pelham, Massachusetts, is an American artist renowned for her vibrant and evocative paintings that explore themes of femininity, identity, and human emotion. Orchard's work is celebrated for its bold color palette, dynamic compositions, and its unique fusion of contemporary aesthetics with classical influences. Her artistic journey began at Indiana University and Hunter College, New York, where she honed her craft and developed a distinctive style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and modern visual culture. Her work often features a blend of abstract and figurative elements, capturing the complexities of the human experience with both sensitivity and strength.


Danielle Orchard’s artistic practice is distinguished by her innovative use of color, form, and texture to explore complex themes of identity and emotional depth. Employing a vibrant palette and dynamic brushwork, she merges abstract and figurative elements to create evocative compositions that both captivate and challenge the viewer. The rich surfaces of her paintings ultimately reflect the intricacies of the human experience: in all her work, the figures present are simultaneously both Orchard and not her, symbolic of broader ideas and narratives. Through her paintings, she seeks to convey the multifaceted nature of femininity and the internal landscapes of her subjects, aiming to provoke introspection and dialogue. They are not only a celebration of visual beauty but also an invitation to engage with the nuanced and often unspoken aspects of personal and collective identity.



1985년 출생의 미국 작가 다니엘 오차드는 여성성, 정체성, 인간 감정을 주제로 한 활기차고 연상적인 회화 작품을 선보이는 작가이다. 오차드의 작품은 대담한 색상 팔레트, 역동적인 구도, 현대적 미학과 고전적 영향의 독특한 융합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전통적인 회화 기법과 현대 시각 문화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독특한 시각적 스타일을 바탕으로 하는 오차드의 작품에는 추상적 요소와 구상적 요소가 혼합되어 있으며, 인간 경험의 복잡성을 감성과 힘으로 포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니엘 오차드는 정체성과 정서적 깊이라는 복잡한 주제를 탐구하기 위해 색, 형태, 질감을 독자적인 방식으로 사용한다. 생동감 넘치는 팔레트와 역동적인 붓놀림을 사용하는 작가는 추상적인 요소와 구상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보는 이를 사로잡는 동시에, 여러 상상을 가능케하는 연상적인 구성을 만들어낸다. 오차드 작품에 나타나는 풍부한 요소들은 궁극적으로 인간 경험의 복잡성을 반영한다. 그의 모든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은 작가 자신인 동시에 자신이 아닌, 더 폭 넓은 아이디어와 내러티브를 상징한다. 오차드는 그림을 통해 여성성의 다면적인 본질과 피사체의 내면 풍경을 전달하여 성찰과 대화를 유도하고자 한다. 그의 작품들은 시각적 아름다움에 대한 찬사일 뿐만 아니라 개인 혹은 집단의 미묘한 정체성에 대한 탐구라고 할 수 있다.


Born in 1964 and based in France, Jean-Michel Othoniel’s enchanting aesthetics revolves around the notion of emotional geometry. Through the repetition of modular elements such as bricks or his signature beads, he creates exquisite jewelry-like sculptures whose relationship to the human scale ranges from intimacy to monumentality. His predilection for materials with reversible and often reflective properties—particularly blown glass, which has been the hallmark of his practice since the early 1990s—relates to the deeply equivocal nature of his art. Monumental yet delicate, baroque yet minimal, poetic yet political, his contemplative forms, like oxymorons, have the power to reconcile opposites. While his dedication to site-specific commissions for public spaces has led some of his work to take an architectural and social turn, Othoniel’s holistic sensibility compares to fêng shui, or the art of harmonizing people with their environment, allowing viewers to inhabit his world through reflection and motion.



1964년 프랑스 출생 장-미셸 오토니엘의 매혹적인 미학은 감성적 기하학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벽돌과 구슬을 활용한 그의 대표적인 작품들은 작은 요소의 반복을 통해 친밀함의 감각을 기념비적인 범위로 확장시킨다. 특히 1990년대 초부터 오토니엘 작품의 특징으로 자리잡은 유리 불기와, 반사 성질을 가진 반짝이는 재료들에 대한 그의 애정은 작가가 추구하는 예술의 모호함과 연결된다. 상징적이면서도 연약하고 섬세하며, 바로크적인 동시에 미니멀할 뿐 아니라, 정치적이면서도 시적인 오토니엘의 작품은 모순되고 상반되는 것들을 조화롭게 아우르는 힘을 갖고 있다. 오토니엘의 많은 작품은 전세계의 공공 공간에 장소 특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의 작품은 사람과 환경을 조화시키며, 이를 통해 관람객은 작가가 펼친 세계를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된다.


GaHee Park, born in 1985 in Seoul, South Korea, and now based in Montreal, Canada, is a contemporary artist renowned for her dramatic and abstract paintings brimming with eroticism and ambiguity. Having studied at the Tyler School of Arts in Philadelphia and Hunter College in New York City, Park’s depictions of domestic life constantly blur the line between the sensual and the sinister. Using abstract figures and objects to construct cryptic scenes, whether featuring elaborate dinners with peering cats or intimate bedroom moments with a three-mouthed figure, Park constantly removes her work from realism to imbue her paintings with a sense of liberation; to truly express herself as she pleases.


Starting with a preliminary sketch, Park applies flat planes of oil onto linen, creating vibrant and raw compositions. Combining the smooth expanse of color and the mysterious, obscure narratives taking place within, Park positions the audience as a spectator to the unfolding scenes. Employing recurring motifs, such as fishes and plants, Park's work often reflects her own emotions and personal experiences of being a South Korean woman from a strict religious household, working to succeed within a contemporary art scene rooted in sexism and racism. On one hand providing a platform for her fantasies, her gazes, and her histories, Park’s paintings also serve as a celebration of the human experience in all its complexity, aiming to dismantle stereotypes and embrace the messiness of individual existence.



1985년 서울 출생의 박가희는 현재 캐나다 몬트리올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에로티시즘과 모호함이 가득한 드라마틱하고 추상적인 회화로 잘 알려져있다. 일상적인 생활 반경을 묘사하는 듯한 그의 그림은 관능과 불길함 사이를 오간다. 추상적인 인물과 오브제를 사용해 고양이와의 저녁 식사나 입이 세 개인 인물의 침실 속 장면과 같은 미스터리하고 비밀스러운 장면을 구상하는 작가는 자신의 작업을 통해 사실주의에서 벗어난 해방감을 선사하고 있다.


이렇듯 생생한 장면들은 주로 린넨 위에 그려진 유화 작업으로 만들어진다. 매끄럽게 펼쳐지는 색채와 작품 속에서 일어나는 신비로운 내러티브는 보는 이를 펼쳐지는 장면의 관객으로 초대한다. 물고기와 식물 같이 그의 작품에서 반복되는 모티프는 엄격한 집안에서 성장한 한국 여성으로서의 정체성, 성차별과 인종차별이 만연했던 사회 속 작가로서 커리어를 이룩하기 위해 노력한 작가의 개인적 감정과 경험을 반영한 것이다. 작가는 고정관념을 해체하고 개별적 존재의 정체성과 혼란스러움을 포용하며, 우리의 모든 복잡하고 내밀한 서사와 경험을 기록해 기념하고 있다.


Born in 1971 in Milan, Italy, Paola Pivi is a multimedia artist based in both Milan and Alaska. She initially pursued studies in chemistry at Politecnico di Milano but later found her passion for art and enrolled in Accademia di Brera. Describing art as an "impossible miracle," Pivi utilizes unrealistic elements as materials for her work, creating a surreal dimension of everyday life that never truly existed. Her enigmatic creations blend the alien with the familiar. Through altering the scale of commonplace objects or applying unconventional colors and materials, Pivi prompts viewers to perceive them in a new light. Spanning sculpture, video, photography,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the artist continually pushes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turning the impossible into possible.



1971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난 파올라 피비는 알래스카와 밀라노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이다. 밀라노 공과대학교에서 화학을 공부했으나, 예술에 매료되어 공학 공부를 중단하고 브레라 국립미술원에 입학했다. 예술을 ‘불가능한 기적’이라고 말하는 작가는 비현실적 요소들을 예술의 재료들로 활용하여,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다른 차원의 일상을 눈앞에 펼쳐 보인다. 수수께끼 같은 그의 작품에는 낯설음과 익숙함이 혼재되어 있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익숙한 대상의 규모를 변형하거나, 그것에 새로운 색과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관객이 그것을 낯설게 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조각, 비디오, 사진, 퍼포먼스, 설치까지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작가는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며 우리가 지각하는 한계를 벗어나는 시도를 계속하고있다.


Marty Schnapf, born in 1977 and lives and works in Los Angeles, earned a Bachelor of Fine Arts from Wittenburg University in 1999, specializing in Painting, Printmaking, and Sculpture. His artistic realm conjures a fluctuating space marked by sensuality and psychological depth, where dreams, desires, and memories intertwine. Figures often overlap or are depicted in various choreographed positions, encapsulated within structurally fragmented environments that both envelop and intersect them. Through the dissolution and dislocation of these elements, Schnapf captures the dual aspects of a moment: its direct representation and its imagined or potential state.



1977년에 태어나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며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마티 스내프는 1999년 비텐부르크 대학교에서 회화, 판화, 조각을 전공했다. 그의 작품에는 꿈과 욕망, 기억이 얽혀 있으며, 특유의 심리적 깊이로 보는 이에게 유동적인 공간을 연상시킨다. 스내프의 작품 속 인물은 종종 서로 겹쳐지거나, 안무를 떠오르게 하는 다양한 자세로 묘사되며, 구조적으로 파편화된 환경 속에 갇힌 채로 서로를 감싸고 교차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작가는 이러한 요소의 해체와 전위를 통해 순간의 직접적인 표현과 상상 또는 잠재적 상태라는 이중적인 측면을 포착한다.


Born in 1984 and based in Ithaca, New York, Josh Sperling has been creating original works on canvas that encompass multiple genres. Blurring the lines between 1960s-1970s minimalism, abstract painting, architecture and design, Sperling's background in graphic design, cabinetry, woodwork and sculpture are naturally integrated into his work. The plywood panels of his canvases are intricately assembled like puzzles to form dynamic, geometric shapes, filled with intense primary or complementary colors that engage the viewer's senses.


Sperling draws inspiration from a wide range of sources to create a unique visual vocabulary characterized by boundless energy and expression. He is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e Memphis Group, an Italian design collective that operated from the early to mid-1980s; Googie style of architecture popularized in California in the 1940s; and abstract painters such as Stuart Davis and Ellsworth Kelly.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canvas, Sperling experiments with atypical shapes like circles, triangles, and curves, continually expanding the possibilities of visual art through his own pictorial language.



1984년 미국 뉴욕주에서 출생하여 뉴욕주 이타카를 중심으로 작업하는 조쉬 스펄링은 1960-1970년대의 미니멀리즘, 추상 회화, 건축과 디자인, 조각과 회화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며, 동시에 이 모든 장르를 아우르는 독창적인 캔버스 작업을 선보여왔다. 조각을 전공하고, 캐비닛 메이커로 일하며 직접 가구를 제작했던 경험과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익힌 기술은 스펄링의 작업에 자연스럽게 녹아 들어있다. 그의 캔버스의 합판은 퍼즐을 맞추듯 정교하게 조립되어 역동적이면서 기하학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고, 강렬한 원색이나 보색으로 채워져 보는 이의 오감을 자극한다.


스펄링은 디자인부터 미술사까지 다양한 자료에서 영감을 얻어 표현력과 무한한 에너지가 돋보이는 독특한 시각적 어휘를 만들어냈다. 작가는 특히 1980년대 이탈리아 산업 디자이너들이 결성한 멤피스 그룹, 1940년대 캘리포니아에서 유행한 건축 양식인 구기(Googie) 스타일, 스튜어트 데이비스와 엘즈워드 켈리 등의 추상화가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원, 삼각형, 곡선 등 비정형적 이미지로 사각형의 전형적인 화면에서 벗어나, 스펄링은 자신만의 회화 언어를 고안하며 시각 미술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Born in 1981 in France and lives and works in Los Angeles, Claire Tabouret studied at the École des Beaux-Arts, Paris. Motivated by a sensitivity to the passing of time and the floodgates of vulnerability opened by human relationships, Tabouret’s painting practice is paced between periods of productive urgency and quiet reflection, and animated by layers, fabrics, and full, loose brushstrokes. Her hydrous palette is suspended somewhere in the ether between the synthetic hues of makeup and subdued tones of the earth, simultaneously referencing the natural and artificial ingredients of representation. Tableaux depicting bodies in confrontation, portraits, paintings of assemblies of people from young debutants to migrants at sea, and landscapes are often washed in color fields, alternately evoking the possibility of anywhere and site specificity. For her monotypes, Tabouret utilizes the phantom stains left by the press to develop transparency and opacity in her portrayals of conflict, sexuality, and desire.



클레어 타부레는1981년 프랑스 출생의 작가이며, 파리 에콜 데 보자르를 졸업한 뒤,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시간의 흐름과 인간 관계에서 비롯되는 우리의 취약함에서 영감 받은 타부레의 회화 작업은 물리적인 생산적 긴박함과 내면적 성찰의 사이를 오간다. 작가는 다층적인 레이어와 느슨한 붓질로 작품에 생동감을 불어넣고, 특유의 차분한 색채 톤을 사용해 자연적이면서도 인공적인 느낌을 자아낸다. 타부레의 화면 속에는 다양한 인물과 풍경이 등장하는데, 이는 대체로 큰 면적의 색면으로 덮여 추상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관계에서의 갈등, 섹슈얼리티, 욕망에 대한 작가의 묘사에 투명성과 불투명성을 동시에 더한다.


Make no mistake: despite the name, Otani Workshop does not refer to a collective of artists, but to a singular, an eminently singular sculptor who has become the leading representative of Japanese ceramics. Silent and literally bulging heads, figures with their arms raised like praying figures, monumental middle fingers extended upwards, anthropomorphic vases, children, animals, soils, bronzes: Otani Workshop’s bestiary is a world in itself, a world in which dreams and tales converge as well as fantasies and daydreams, a world in which the queenly imagination and the kingly gesture triumph, in which forces and forms meet.



1980년 일본 시가현 출생의 오타니 워크숍은 일본 도예를 대표하는 현대 미술가이다. 툭 튀어나온 머리를 가진 형상부터 기도하는 듯한 형태로 팔을 든 모형, 커다랗게 위로 뻗은 가운데 손가락, 인간 형상의 화병, 아이 형상, 동물 모양, 흙과 청동으로 만들어진 작품에 이르기까지 오타니 워크숍이 도예를 통해 빚고 그리는 우화집은 그 자체로 하나의 세계를 이룬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꿈과 이야기, 판타지와 몽상이 만나는 세상, 우아한 상상과 위풍당당한 제스처로 가득 찬 세상, 그리고 힘과 형태가 만나는 세상을 그려내고 있다.